'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서 각오 다져
"우리 정부서 구체적 계획 세워 로드맵 완성"
"탄소중립 결정적 관건은 기술... 역량 집중"
"우리 정부서 구체적 계획 세워 로드맵 완성"
"탄소중립 결정적 관건은 기술... 역량 집중"
[파이낸셜뉴스] "2050 탄소중립이 과연 현실적으로 가능할까? 다분히 정치적 선언 아닐까?"
문재인 대통령이 27일 청와대에서 주재한 '2050 탄소중립 범부처 전략회의'에서 본격적인 마무리 발언에 앞서 던진 두 개의 물음이다. 일각에서 제기되는 2050년 탄소중립 실현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반영된 것으로 읽힌다.
문 대통령은 이어 "이런 의심이 생길 정도로 2050 탄소중립은 어려운 과제"라면서 정부 각 부처는 비상한 각오로 더욱 책임감을 갖고 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고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밝혔다.
문 대통령은 "과거 정부는 203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15년에) 제시했으나 이후 실제로는 석탄발전량을 오히려 늘렸다"며 "우리는 다음 정부에 떠넘겨선 안 된다. 우리 정부에서부터 구체적 실행 계획을 세워서 로드맵을 완성하고, 책임진다는 자세로 임해 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도 "에너지 전환, 산업 혁신, 미래차 전환, 혁신생태계 구축, 순환경제 실현, 공정전환 추진 등 주요 과제별 로드맵과 추진 전략도 빠르게 마련하겠다"며 "심층적인 연구·검토와 충분한 소통을 거친 체계적이며 충실한 이행계획으로 국민 공감대를 넓혀 나가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의 결정적 관건은 '기술'이라고 강조했다. '혁신기술개발'에 연구 개발 전략을 집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만 '기술'이라는 단어를 10여 차례 쓰면서 기술발전을 위해 역량을 집중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EU는 기술발전을 전제로 2050 탄소중립을 선언했다. 우리도 기술발전을 전제로 해야 가능하다"며 "전부 친환경차로 교체해도 가격을 낮추지 못하면 대중화가 어렵지 않겠는가. 석탄발전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로 교체한다 해도 발전단가가 엄청난 부담이 되면 현실적이지 않다. 그래서 기술이 가장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또 "이산화탄소포집·활용·저장 기술(CCUS), 에너지효율화 기술, 그린수소 기술, 2차전지 태양전지 기술, 이산화탄소를 광물자원화하는 기술, 충분한 R&D(연구개발) 투자로 이런 기술을 향상시키는 게 중요하다"고 부연했다. 혁신기술 1~2개만 세계를 선도해도 목표를 이루는데 선두에 설 수 있고, 기술 자체가 미래에 굉장한 먹거리가 될 것이라는 것이 문 대통령의 인식이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수출 규제 당시 혼연일체로 이겨내고 오히려 소부장 강국을 목표로 세웠다"며 "기술발전을 위해 소부장 때와 똑같이 비상한 각오로, 모든 지원을 다해 강력하게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각오를 다졌다.
fnkhy@fnnews.com 김호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