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따라 각국이 백신 접종을 서두를 참이다. 프랑스 정부는 3일 신년 초부터 3단계 전 국민 무료 접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영국도 미국 제약사 화이자와 독일 바이오엔테크의 백신 사용을 세계 최초로 승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갈등을 빚어온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의 유임을 전제로 "그가 안전하다면 맞겠다"며 백신 접종에 적극성을 보였다.
그러나 백신 확보량에서 현재 나라별 격차는 크다.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주도한 미국과 유럽연합(EU)은 제쳐두더라도 여타국 간에도 '백신 격차'는 두드러진다. 세계 최대 백신 위탁생산시설을 갖춘 인도가 6억회분의 백신 물량을 확보했다. 일본도 아스트라제네카, 화이자, 모더나 등과 3억회분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우리나라의 백신 확보량은 인도네시아·태국·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주요국에도 아직 뒤처져 있다.
최근 정부는 아스트라제네카와 계약을 체결한 사실을 공개했다. 하지만 화이자, 모더나 등에 비해 임상시험 등 개발 진도에서 후발주자와의 계약이라 다수 전문가들의 눈엔 여전히 굼뜬 인상을 주고 있다. 특히 연내 전 국민의 60%인 3000만명분 백신을 확보했다는 계획을 세웠던 당정이 최근 4400만명분까지 늘리기로 하는 등 우왕좌왕하는 기색이다. 안전성 검증이나 계약 조건도 중요하다. 하지만 혹여 신속한 추적조사와 철저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기반한 K방역의 성과를 맹신해서도 곤란하다. 백신만큼 확실한 방역은 없다. 3차 대유행 기미를 보이는 지금이 최후의 보루인 백신 확보에 가속 페달을 밟을 때다.
kby777@fnnews.com 구본영 논설위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