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관계 부처 및 전문가 등과 협의해 코로나19 백신 우선접종 대상과 시기 등이 담긴 접종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노인과 집단시설 거주자, 만성질환자 등 '코로나19 취약계층'과 보건의료인 등 '사회 필수 서비스 인력' 등 3600만명을 우선접종 대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백신을 먼저 맞을 수 있는 사회 필수 서비스 인력으로는 의료기관 종사자와 1차 방역대응 요원, 경찰·소방공무원과 요양시설·재가복지시설 종사자, 군인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환종 서울대의과대학 명예교수는 "현재 응급상황에서 질병 피해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65세 이상 고령층이나 환자를 다루는 응급요원, 의료인 등이 약 40% 가량"이라며 "따라서 정부에서 정한 우선접종 대상 3600만명은 다소 여유가 있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다만 소아·청소년 등 20% 가량은 코로나19 백신 임상시험 결과가 아직 불충분하기 때문에 접종 대상에서 일단 제외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접종시기는 미정이다. 선구매한 백신이 내년 1·4분기부터 내년 연말까지 국내에 공급되더라도 도입과 접종이 동시에 이뤄지지는 않을 전망이다.
이 명예교수는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K-방역으로 상당히 관리를 잘 해 왔기 때문에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는 미국이나 유럽처럼 급하게 도입할 필요는 없다"며 "아직까지 효과나 안전성이 검증이 확실하게 않기 때문에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도 신중한 입장이다. 양동교 질병청 의료안전예방국장은 "접종 시기는 여러 상황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결정할 예정"이라며 "코로나19 국내상황과 외국 접종상황 등을 고려해 예방접종 전략 및 세부 시행계획을 세우면서 구체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박 장관도 "기본 전략은 물량은 조기에 확보하더라도 접종은 신중하자는 것"이라며 "유럽이나 미국처럼 확진자 수가 급속히 늘어나서 백신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면 위험을 안고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접종을 강행할 수 있겠지만, 우리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대처하고 있어 서둘러 접종하는 것은 필요성이 그다지 높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어 "국내에서 별도 안전성 검사를 하고, 외국에서 접종 2∼3개월 뒤에 나올 수 있는 여러 부작용도 면밀히 모니터링한 뒤 국민에게 접종하는 것이 순서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백신 접종을 위한 유통체계도 마련할 계획이다.
화이자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경우 영하 60∼80도에서 효능이 유지돼 초저온 상태의 유통·보관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 도입하려는 백신 중 유효기간이 짧고 2회 접종을 해야 하는 것도 있어 접종 대상자별 세부 접종 전략도 준비해야 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백신을 접종한 뒤 부작용을 겪으면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보상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현행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감염병예방법)' 사례를 검토해 세부 방안을 준비한다는 게 방역당국 입장이다.
한편, 국내에 공급될 예정인 아스트라제네카와 얀센의 코로나19 백신은 항원 유전자 일부를 인체에 무해한 바이러스에 넣어 만든 '전달체(벡터) 백신'이다. 또 화이자와 모더나는 바이러스의 유전정보가 담긴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을 활용해 개발된 '핵산 백신'이다. 아스트레제네카 백신은 국내 SK바이오사이언스에서 생산하고 있어 내년 1·4분기에 가장 먼저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도즈(1회 접종분)당 공급 가격이 3∼5달러(약 3000∼5500원)로 정도다. 화이자는 19.5달러(약 2만1500원), 모더나는 15∼25달러(약 1만6500∼2만7500원) 수준이다.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2회 접종해야 하고 얀센 백신은 1회로 접종이 가능하다.
pompom@fnnews.com 정명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