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0년 한국 영화산업 가결산’ 자료를 보면 올해 11월까지 극장 매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조2294억원 감소한 4980억원을 기록했다.
올해 1월 20일 국내 첫 코로나 확진자 발생 이후 2월 중순 코로나19 1차 확산으로 인해 2월 극장 매출액은 전월 대비 56.6% 감소한 623억원, 3월 극장 매출액은 전월 대비 75.5% 떨어진 152억 원이었다. 3월 국내 확진자 수가 5000명을 넘으며 4월 매출액은 75억원까지 떨어져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집계 이후 최저 매출을 기록했다. 5월부터 8월까지 코로나19 안정세 더불어 신작 개봉으로 서서히 매출액을 회복했으나 8월 중순 2차 확산기 시작으로 다시 감소세로 돌아갔다.
11월 한 달간 7000명 이상의 국내 확진자가 발생하며 코로나19 3차 확산이 시작됐고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됨에 따라 12월 전망도 밝지 않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전년 동월 대비 가장 큰 감소율인 4월의 93.4%를 2019년 12월 극장 매출액에 적용한 2020년 12월 매출액 추정치는 123억원이다. 이 값을 더한 2020년 극장 총매출은 전년 대비 73.3%(1조 4037억원) 감소한 5103억원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
코로나19로 인한 피해는 해외 진출 부문에서도 클 것으로 보인다. 11월까지 취합한 자료에 따르면 완성작 수출, 기술서비스 수출, 장비 수출, 로케이션 유치를 모두 합친 한국영화 해외 매출 추산액은 394억원으로 2019년 해외 매출의 50% 이하 수준에 머무를 것으로 분석된다.
2020년 한국 영화산업은 극장 매출, 디지털 온라인 시장 매출, 해외 매출을 합산한 추산액이 대략 9132억원으로 1조원을 채 넘기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한국 영화시장 역대 최대 규모를 달성했던 2019년 2조5093억원에 비해 63.6%(1조 5961억원) 감소한 수치다.
영진위에서 실시한 코로나19로 인한 영화 제작, 개봉 피해 2차 실태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응답한 135편 작품의 총 피해 규모는 329억56만원이며 작품당 평균 피해 금액은 2억4747만 원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제작(프리, 프로덕션, 포스트) 연기 및 변경으로 인한 피해액이 113억427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개봉 준비 연기로 인한 피해액이 97억1430만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피해 형태는 제작, 개봉 단계별로 다양했다. 제작 단계에서는 국내 로케이션 취소나 변경, 후반 작업 기간 연장으로 인한 인건비 및 진행비 상승이 많았고 개봉 단계에서는 개봉 취소나 연기로 인한 피해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관 피해 실태조사에 따른 영화관 피해 형태는 매출 감소, 운영 중단, 고용 피해 등으로 다양했다. 설문에 응답한 402개 상영관의 2020년 1~9월까지 입장권, 매점, 광고 매출을 모두 더한 총매출은 4796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조5587억원보다 69.2% 감소했다.
한편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씨네큐 4개 계열 영화관 423개관 중 3월 94개관, 4월 106개관이 관객 감소에 이어 신작 공급 중단까지 겹치며 휴관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여파로 2020년 4월 극장 관객 수는 97만2572명으로 통전망 가동 이후 역대 월 최저 관객 수를 기록했다.
고용인력 부문에서는 코로나19가 2월 중순부터 본격화돼 휴관에 돌입한 영화관이 늘어나 고용인원 감축도 함께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응답한 407개관에 따르면 2020년 10월 영화관 정규직 재직자 수는 2019년 12월 대비 15.9%(621명) 감소한 3291명이었고 특히 계약직 재직자는 70.2%(8,144명)나 감소해 3450명만이 남았다.
defrost@fnnews.com 노동균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