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라인 '필수인력' 기준도 못정해
기업들 혼란 가중… 직원불만 커져
코로나19 확진자가 연일 1000명대를 넘나들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격상이 임박했지만, 국내 대기업들은 생산현장의 재택근무 기준조차 세우지 못한 채 고심에 빠졌다. 24시간 365일 돌아가는 현장근무 특성상 재택근무 의무지침을 불가피하게 지킬 수 없는 곳이 많기 때문이다.
기업들 혼란 가중… 직원불만 커져
22일 중앙사고수습본부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적용 시 민간기업도 필수인력을 제외하고 재택근무를 의무적으로 도입해야 한다.
문제는 중수본,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가 '필수인력'에 대한 기준을 '노사 협의'에 맡기고 있어 일선 기업들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는 점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부 논의 중이지만 현장에서 (자율적으로) 필수인력을 정할 수 있다"며 정부 지침을 내리기보다 현장 자율에 맡기겠단 입장이다. 고용부 관계자는 "아직 (필수인력 기준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면서 "관계부처에서 내용을 취합해 조만간 중수본 생활방역팀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손놓은 사이 방역 책임은 일선 현장으로 가중됐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삼성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등 제조기업들은 3단계 격상 시 생산라인 '필수인력'의 기준을 정하지 못하고 있다. 24시간 돌아가는 생산직, 업무의 연속성이 강한 연구개발(R&D)직 등에 대해선 재택근무 원칙조차 세우지 못하면서 직원들의 불안만 커지고 있다.
디스플레이 업체 관계자는 "시스템상 재택근무로 올려놓고는 사무실로 출근하는 게 다반사"라면서 '무늬만 재택'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회사가 한 달 전에 필수인력을 파악해놓고 아직까지 정해진 게 없다고 한다"면서 "올해 상반기 억눌린 수요가 연말까지 몰려 풀 캐파로 돌아가는 빠듯한 상황에 재택근무가 가능하겠냐"며 의문을 제기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기업들은 최후의 보루인 근무인원 조정 대신 기존 대응책의 수위를 상향조정하는 등 방역의 고삐만 한층 더 죄고 있다.
seo1@fnnews.com 김서원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