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대한민국 전체 가구 부채의 60.2%를 4050세대가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세대의 자산은 부동산에 편중돼 있어 향후 유동성 문제로 생활자금 부족이 우려된다.
보험개발원은 11일 고령화·은퇴 관련 통계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2020 KIDI 은퇴시장 리포트'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연도별 평균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전망이다. 초고령사회는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 이상인 사회를 말한다.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고되면서 향후 노년부양비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050세대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 자산의 53.3%를 보유했고, 부채의 60.2%를 부담했다. 특히 자산의 경우 금융자산(1218조원, 26.5%)보다 실물자산(3370조원, 73.5%), 특히 90% 이상이 부동산에 편중돼, 노후 자금마련에 유동성 제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4050세대는 공적연금 외 추가 노후준비가 필요하다고 내다봤지만 노후준비는 부족했다. 4050세대의 대부분이 노후준비가 필요하다고 응답(94.9%)했으나, 충분한 노후준비가 되어 있는 응답자는 31.3%에 불과했다. 4050세대 노후준비 방법으로 공적연금(51.0%)활용도는 높은 편이지만, 이에 비해 연금보험 등 사적연금 활용(7.2%)도는 낮은 편이었다. 은퇴 후에도 예상되는 지출은 높은 편(자녀 교육비 6989만원, 자녀 결혼비 1억 194만원 등)이나 은퇴 시 받을 퇴직급여(평균 9466만원 예상)만으로 충당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이었다.
4050세대는 은퇴 후 장점으로는 '업무 스트레스에서 해방'이 가장 높았으며 단점으로는 '경제적 어려움'을 호소했다. 연령증가에 따라 소득지원에 대한 복지서비스를 더 필요로 하며 노후에도 계속 근로를 이어가고 있어 경제적 소득에 대한 부담이 큰 것으로 보인다. 노후 준비를 위한 개인연금 활성화를 위해서는 세제혜택이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보험권을 통해 판매되는 연금저축(세제적격) 시장규모는 세제혜택이 변경된 201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특히 은퇴준비자는 현행 연금저축보험의 세액공제율(13.2%)과 세액공제 한도금액(400만원)이 높아지길 희망했다.
hsk@fnnews.com 홍석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