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공공배달앱, 갈길이 멀다...가맹점부족 서비스 불안

예병정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01 15:05

수정 2021.02.01 15:05

"인프라 등 중장기 전략 갖춰야"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장기화 여파로 배달앱 시장이 급성장하고 과도한 광고료와 높은 배달중개수수료 등이 사회문제로 부각되면서 지난해부터 지자체들은 공공배달앱을 대안으로 선보였다. 서울시의 '제로배달 유니온' 사업이나 경기도가 제작한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현재 공공배달앱 서비스는 시장안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습이다. 가맹점 부족이나 서비스 시스템 불안 등으로 소비자들이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

■더딘 서비스 확대 속도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시의 공공배달조합인 '제로배달 유니온'에 참여한 배달앱 서비스 업체는 총 8개다. 지난해 9월 7개 배달앱 업체가 참여한 이후 지난해 12월 '위메프오'가 추가로 참여하면서 8개로 늘어난 것이다.

제로배달 유니온은 서울시와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소상공인단체, 민간 배달앱사가 함께 소상공인의 배달중개수수료를 절감하기 위해 추진되는 민관협력방식 배달앱 조합이다. 따라서 참여사가 많이 늘어나야 배달앱 시장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커지고 시장 전반의 수수료 인하도 끌어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로배달 유니온의 서비스 개시 속도는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목표를 기준으로 본다면 아직 절반 수준에 그친다. 실제 지난해 9월 출범 당시 제로배달 유니온은 총 16개 배달앱 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1월까지 해당 배달앱 업체들은 제로배달 유니온의 일원으로 서비스를 개시한다고 전한 바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배달앱 업체가 특별한 문제가 있다기보다는 앱을 개발 중이거나 앱의 가맹점 숫자가 충분하지 않아 협약은 맺었지만 제로배달 유니온 명칭을 사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서비스를 위해 충분한 준비가 된 이후에 제로배달 유니온으로 서비스를 하자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경기도가 직접 제작한 공공배달앱인 '배달특급'의 경우는 지난해 12월 서비스를 시작해 아직 화성과 오산, 파주시에서 시범 운영 중에 있다. 정식출범은 했지만 아직 경기도 전역으로 확대하지는 못하고 있다. 경기도 전체 시민들의 세금이 투입된 사업임에도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한 상황이다. 더구나 시범 운영 중인 지역도 가맹점이 기존 배달앱에 비해 부족하다는 사용자들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경기도는 올 하반기까지 28개 시군으로 배달특급 사업 대상지를 늘리고 내년에는 경기도 전역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서비스 안전성도 떨어져
공공배달앱 확산 속도도 문제지만 앱의 안정성이나 활용성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큰 것도 공공배달앱의 활성화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꼽힌다.

지자체가 직접 나서 제작한 공공배달앱에 대해 앱의 속도가 느리거나 결제시스템이 불안정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공공배달앱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가 지역사랑상품권을 사용해 10~20% 수준의 할인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인데 결제 시스템이 불안정하다 보니 지역사랑상품권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문제를 빠르게 해소하지 못하면 공공배달앱은 시장에서 생존이 어려울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3월 지자체 중 가장 먼저 서비스를 시작한 전북 군산 '배달의 명수'의 경우 사업 초기 두 달 주문 건수가 8배 가까이 증가하며 호조를 보였지만 이후 이용자 수와 주문 수가 감소하면서 부진에 빠졌다.

결국 소비자에게 돌아가는 혜택 확대나 편의성 개선 없이 이른바 '착한 소비'에 기댈 경우 공공배달앱이 장기적으로 생존하기 쉽지 않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경미 한국외식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지자체의 공공(배달)앱 개발 및 설치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제대로 작동하기 위한 인프라 및 비용 조달 등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가 있다"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혜택이 별반 없다면 착한소비를 기대하기엔 다소 무리일 수도 있다"고 전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