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1월에만 취업자 100만명 급감…IMF 이후 최악의 고용 참사(종합)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2.10 09:20

수정 2021.02.10 09:45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0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1월 고용동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통계청은 15~64세 고용률은 64.3%로 전년동월대비 2.4% 하락, 실업률은 5.7%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했다고 밝혔다. 취업자는 98만 2000명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사진=뉴스1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이 10일 정부세종청사 기획재정부 브리핑실에서 1월 고용동향 브리핑을 하고 있다. 통계청은 15~64세 고용률은 64.3%로 전년동월대비 2.4% 하락, 실업률은 5.7%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했다고 밝혔다. 취업자는 98만 2000명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3차 재확산으로 1월 취업자가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 이후 최대 감소했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1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581만8000명으로, 1년 전보다 98만2000명 감소했다. 1998년 12월(-128만3000명) 이후 최대 감소다. 취업자 수 감소는 지난해 3월부터 11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1998년 1월∼1999년 4월까지 16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최장 기간이다.



정동욱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지난해 12월 8일 거리두기가 격상되면서 숙박·음식점업, 도·소매업 등 대면서비스업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됐다"며 "청년 신규채용 감소, 노인일자리 종료 후 개시까지의 시차, 폭설에 따른 일용직 감소 등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1월 취업자가 56만8000명 늘었기에 기저효과도 같이 작용했다"고 덧붙였다.

산업별로는 대면서비스를 중심으로 피해가 컸다. 숙박·음식점업(-36만7000명), 도·소매업(-21만8000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10만3000명) 등에서 줄었다.

반면 운수 및 창고업(3만명), 사업시설관리·사업지원 및 임대서비스업(2만7000명), 공공행정·국방·사회보장행정(2만명) 등에서는 늘었다.

취업자는 모든 연령층에서 감소했다. 20대(-25만5000명), 30대(-27만3000명), 40대(-21만명), 50대(-17만명), 60세 이상(-1만5000명) 등이었다.

올해 1월 실업자는 157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1만7000명(36.2%) 증가했다. 통계청이 1999년 6월 통계작성을 시작한 이래 최대치다. 실업률은 5.7%로 전년동월대비 1.6%p 상승했다. 취업자 수가 코로나19 확산 이후 지속 감소하면서 고용 충격이 장기화하고 있다. 실업률은 5.7%로 1년 전보다 1.6%p 상승했다. 청년 실업률도 9.5%로 전년 동월 대비 1.8%p상승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57.4%로 1년 전보다 2.6%p 줄었다. 1월 기준으로 2011년(57.0%) 이후 최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4.3%로, 1년 전보다 2.4%p 하락했다. 실업자는 157만명으로 1년 전보다 41만7000명 늘었다. 1999년 6월 통계 작성 이후 최대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758만명이었다. 비경제활동인구란 만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취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사람이다. 비경제활동인구를 부문별로 보면, 가사(42만8000명, 7.2%), 쉬었음(37만9000명, 16.2%) 등에서 증가해, 전년 동월 대비 86만7000명 늘었다. 구직단념자는 77만5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3만3000명 늘었다.
정부는 두 달 연속 취업자 감소폭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고용시장의 심각성을 엄중하게 인식하고, 직접일자리 90만개 이상을 1분기에 만드는 등 가용한 모든 정책 수단을 동원해 총력 대응하기로 했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분기 중 중앙정부와 지자체 협력을 통한 90만+α개 직접일자리를 창출할 것"이라며 "고용유지지원금 지원 강화와 함께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국민취업지원제도 신속 지원 등 취업 취약계층 생계안전망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규제 혁신, 한국판 뉴딜 등을 통한 양질의 민간일자리 창출 기반 강화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며 "1분기 중 예고된 청년·여성 맞춤형 일자리 대책 등 마련에도 속도를 내겠다"고 덧붙였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실시간핫클릭 이슈

많이 본 뉴스

한 컷 뉴스

헉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