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삼성전자 1분기 영업익 9조3000억
IM 4조3000억원 ‘보복소비’ 효과
가전도 1조 육박하는 영업익 올려
수요 급증한 D램 가격 상승 전망
"2분기 실적개선은 반도체가 주도"
IM 4조3000억원 ‘보복소비’ 효과
가전도 1조 육박하는 영업익 올려
수요 급증한 D램 가격 상승 전망
"2분기 실적개선은 반도체가 주도"

삼성전자의 1·4분기 어닝서프라이즈(깜짝실적)는 보복소비에 따른 스마트폰과 가전의 '쌍끌이' 덕분으로 풀이된다.
미국 반도체 공장의 정전 사태로 수천억원의 손해가 발생했지만 견조한 사업 포트폴리오로 이번에도 위기를 극복했다는 분석이다. 2·4분기에는 정전악재 해소에다 메모리반도체의 슈퍼사이클이 본격화하면서 실적도 날개를 달 전망이다.
■흔들리지 않는 3개의 버팀목
삼성전자는 7일 연결기준으로 올 1·4분기 매출 65조원, 영업이익 9조3000억원의 잠정실적을 발표했다.
전기 대비 매출은 5.61%, 영업이익은 2.76% 증가했고, 전년동기 대비 매출은 17.48%, 영업이익은 44.19% 증가했다.
1·4분기 삼성전자 실적은 갤럭시 S21과 A시리즈 등 스마트폰이 견인했다. 예년보다 출시일정을 한 달 앞당긴 갤럭시S21이 조기 출시 효과를 누렸고, 갤럭시 버즈 등 마진율 높은 웨어러블 제품의 매출이 크게 늘면서 IM(IT·모바일) 부문 영업이익은 약 4조3000억원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19의 펜트업(억눌렸던 수요가 폭발하는 현상) 효과가 이어진 CE(소비자가전) 부문도 TV와 생활가전의 동반 호조에 힘입어 전분기 8000억원을 넘어서며 1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이익을 올렸다.
다만 실적 주포인 반도체는 미국 한파로 텍사스주 오스틴 공장의 가동중단에 따른 피해가 장기화하면서 당초 기대보다는 저조한 실적을 거둔 것으로 파악된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 DS(반도체부품) 부문의 1·4분기 영업이익을 약 3조5000억~3조6000억원으로 보고 있다. 오스틴 정전에 따른 영업손실 규모는 3000억원 안팎으로 점쳐진다. 아울러 원·달러 환율이 연초 달러당 1082원에서 3월 말 1130원까지 상승하면서 영업 외적으로도 추가 이익이 발생했다.
■반도체 상승-美공장도 정상화
올해 2·4분기부터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DS부문에 본격 반영되고, 메모리 가격 상승에 따른 평균판매가격(ASP)도 올라 수익성 개선 여지가 크다.
현물시장에서 PC용 D램(DDR4 8Gb) 가격은 연초 기준 3.46달러 선에서 3월 중순 4.5달러까지 오르는 등 상승세를 타고 있다. 2·4분기부터 서버용 D램 수요가 급증하면서 전반적인 D램 가격이 전기 대비 10~20% 오를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낸드플래시 가격도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를 중심으로 가격전망이 낙관적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3월까지 PC D램 가격은 평이했지만 4월부터는 크게 치솟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1·4분기 가동을 멈췄던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과 관련한 주정부의 손실보상금도 일회성 이익개선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 오스틴 공장은 가동이 재개됐고, 셧다운 이전 수준으로 점차 설비 가동을 올리고 있는 단계다. 시장에선 2·4분기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이 5조원대 이상의 영업이익을 낼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송명섭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업황의 강세는 하반기까지 이어질 전망"이라며 "2·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총 10조2000억원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김운호 IBK투자증권 연구원도 "영업이익은 1·4분기를 저점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2·4분기 실적개선은 반도체가 주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달 말께 확정 실적발표에서 1·4분기 사업부별 실적을 구체적으로 공개한다.
km@fnnews.com 김경민 이보미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