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치일반

2011년 10월과 2021년 4월...지금부터 진짜 시작이다 [이슈 1인치]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4.08 10:11

수정 2021.04.08 10:28

지난 2011년 당시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YTN 방송화면
지난 2011년 당시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무상급식 주민투표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YTN 방송화면

#. 대통령 임기 만 4년을 앞두고 '소(小)통령'이라고 불리는 서울시장 자리가 갑자기 공석이 됐다. 여당이 갖던 서울시장 자리가 비자, 야당은 정권 심판을 내걸었다.

그러나 계파 싸움을 봉합하지 못한 제1야당은 선거 패배에 익숙해진 채 여전히 지리멸렬했다. '이번 선거는 이겨야 한다'는 의지는 다졌지만, 막상 이길 수 있을지 자신할 순 없는 상황이었다. 야당은 여전히 무능했고, 여당은 여전히 오만했다.


그 상황에서 야권에서 '안철수'가 등장했고 그가 야권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 그 이후의 시나리오는 시민들이 만들어줬다. 야권 단일화부터 시장 당선까지 시민들이 만들었다. 거센 네거티브 공방전이 거듭됐지만, 시민의 회초리가 여당을 때렸다.

갑작스러운 패배를 당한 여당은 당황했고 쇄신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졌다. 그렇게 패배는 여당이 했지만, 승리는 분명치 않았다. 야권은 반전의 계기를 마련했지만 뚜렷한 대안을 보여주진 못하고 있다.

지난 2011년 9월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진행된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협상에서 안철수 당시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서울시장 후보를 양보해 박원순 당시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가 단일후보로 선정됐다. 사진=박범준 기자
지난 2011년 9월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에서 진행된 서울시장 후보 단일화 협상에서 안철수 당시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서울시장 후보를 양보해 박원순 당시 아름다운재단 상임이사가 단일후보로 선정됐다. 사진=박범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2021년 4월의 이야기가 아니다. 2011년 10월의 이야기이다.

이명박 정부 만 4년을 앞둔 2011년 하반기, 당시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은 무상급식에 반대하며 시장직을 걸고 주민투표를 진행했지만 결국 시장자리를 떠났다. 그렇게 2011년 10월 26일 보궐선거가 진행됐다.

야권은 2007년 대선 패배 이후 문재인, 이해찬으로 대표되는 친노(親盧) 세력과 손학규 등으로 대표되는 비노(非盧) 세력 간의 갈등을 봉합하지 못하고 있었다. 친노 세력 상당수는 아예 민주당 밖에 있었다.

안철수 당시 서울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이 제3후보로 출마했지만 얼마 후 박원순 변호사를 지지 했다. 시민 후보를 자처한 박원순 무소속 후보는 야권 단일화 끝에, 당시 여당인 한나라당의 나경원 후보를 여유 있게 따돌리며 당선됐다.

지난 2011년 10월 16일 서울 동호로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선묵혜자스민과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산사순례기도회 창립5주년기념 대법회 및 영산재를 찾은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와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지난 2011년 10월 16일 서울 동호로 장충체육관에서 열린 '선묵혜자스민과 마음으로 찾아가는 108산사순례기도회 창립5주년기념 대법회 및 영산재를 찾은 한나라당 나경원 후보와 무소속 박원순 후보가 박수를 치고 있다. 사진=박범준 기자

'오세훈'이 떠난 자리에, '안철수'가 '박원순'의 손을 들어줬고, '박영선'과의 예선서 승리하고, 결국 '나경원'에게 이긴 2011년.

'박원순'이 떠난 자리에, '나경원'과의 예선에서 승리한 '오세훈'의 손을, '안철수'가 들어줬고, 결국 '박영선'에게 이긴 2021년.

드라마를 만들라고 해도 쉽게 나오기 힘든 평행이론 시나리오다.

지난 2012년 12월 15일 18대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서울지역 대규모 집중유세에서 깜짝 안철수 전 후보와 함게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제공
지난 2012년 12월 15일 18대 대선을 앞두고 문재인 당시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열린 서울지역 대규모 집중유세에서 깜짝 안철수 전 후보와 함게 시민들을 향해 손을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뉴스1 제공

그러나 문제는 그 이후부터다.

2011~2012년으로 돌아가자. 서울시장 보궐선거 승리 이후 야권의 자신감은 하늘을 찔렀다.

그동안 흩어졌던 야권 세력이 통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강해졌고, 민주당 밖에 있었던 친노 세력도 시민통합당을 만들어 민주통합당이라는 빅텐트를 쳤다. 무소속으로 있던 박원순 시장도 2012년 민주통합당에 입당했다.

2012년은 국회의원 총선거와 대통령 선거가 함께 있던 선거의 해였다. 야당은 두 선거 모두 승리를 자신했다. 당시 민주통합당은 자신들의 주특기였던 '야권연대'를 무기로 국회 과반 의석과 대선 승리를 약속했다. 그러나 거기까지였다.

지난 2012년 8월 2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새누리당 대통령 선거 후보자 지명 전당대회에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전당대회에서는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사진=김범석 기자
지난 2012년 8월 2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새누리당 대통령 선거 후보자 지명 전당대회에서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이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전당대회에서는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대선 후보로 확정됐다. 사진=김범석 기자

여당인 한나라당은 '멘붕'에 빠졌다. 그동안 MB(이명박) 청와대의 입김이 강하게 작용하던 한나라당은 대통령을 멀리하기 시작했다. 레임덕의 시작이었다. 친이계로 분류됐던 홍준표 당시 한나라당 대표는 선거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바로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됐다.

비상대책위원장은 '여당 내 야당' 대표로 불리던 박근혜 전 대표가 됐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당 간판부터 바꾸고(새누리당) 당을 전면 쇄신하기 시작했다. 그렇게 새누리당은 19대 총선에서 과반을 차지했고, 박근혜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은 18대 대선에서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꺾고 대통령에 당선됐다.

제3세력의 정치인으로 분류되던 안철수 당시 서울대 전 교수는 '새정치'의 기치를 들고 정계에 진출했지만 정치적 미숙함을 극복하지 못하고 문재인 당시 후보와 단일화를 깔끔하게 하지 못해 대선 패배의 원인이 됐고 대선 직후 미국행 비행기를 탔다.

4·7재보선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왼쪽)와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각각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과 노원구 상계백병원 앞 사거리에서 유세를 갖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제공
4·7재보선을 하루 앞둔 지난 6일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왼쪽)와 오세훈 국민의힘 서울시장 후보가 각각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과 노원구 상계백병원 앞 사거리에서 유세를 갖고 지지를 호소하고 있다. 뉴스1 제공

이명박 정부의 여당 내 야당이었던 박근혜의 새누리당 쇄신. 야권연대에 매달렸던 민주통합당과, 2% 부족했던 거물급 신인 안철수의 잘못된 만남.

앞 문장에서 이명박 정부를 '문재인 정부'로, 박근혜를 '이재명'으로, 새누리당을 '더불어민주당'으로, 민주통합당을 '국민의힘'으로, 안철수를 '윤석열'로 치환해 다시 읽어보자. 충분히 가능한 시나리오다.

뉴스1 제공
뉴스1 제공

정치는 생물이다. 예상대로, 각본대로 흘러가지 않는다. 2011년과 2021년의 평행이론이, 2012년과 2022년의 평행이론으로 이어질 수 없다.

그러나 여당과 야당 모두 알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선거는 예비고사, 모의고사의 성격이 강했다는 것을.

결국 본 시험은 2022년 3월로 예정된 20대 대통령 대통령 선거다. 그리고 2022년은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가 있는 선거의 해다.

2022년을 바라보는 여야 모두 2011년과 2012년을 교훈·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것이다.
지금부터 진짜 시작이다.

서울 광화문 도심에서 바라본 청와대 전경. 뉴스1 제공
서울 광화문 도심에서 바라본 청와대 전경. 뉴스1 제공

■파이낸셜뉴스는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사건과 인물, 이슈 등에 대해 '딱 1인치'만 더 깊게 파고드는 기사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많은 악플과 격려 바랍니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