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경제

파월 연준의장 "양적완화 축소한다면 2013년처럼 할 것"

윤재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4.15 10:39

수정 2021.04.15 10:45

가상화폐는 투기 수단이라고 비판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1일 워싱턴 연방 의회 의사당에서 열린 상원금융위원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을 하고 있다.로이터뉴스1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지난해 12월1일 워싱턴 연방 의회 의사당에서 열린 상원금융위원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을 하고 있다.로이터뉴스1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을 다시 한다면 지난 2013~14년 실시됐던 것과 같이 진행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14일(현지시간) 마켓워치는 파월 의장의 이번 양적완화 축소 관련 발언은 금리 인상 재개 전에 실시할 것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파월 의장은 이날 워싱턴경제클럽이 주최한 토론회에 화상으로 참석해 현재의 연준 통화정책을 중단할 경우 나타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질문을 받자 2013~14년 연준이 실시했던 테이퍼링을 교과서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기준금리를 다시 올리기 전에 양적완화 축소를 할 가능성이 크다고도 밝혔다.

미 연준은 지난해 시작된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타격을 입은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제로금리와 자산매입을 진행해왔다. 지난해 여름부터 미 재무부는 매월 채권 800억달러(약 89조원)와 주택저장증권(MBS) 400억달러 어치를 매입해오고 있다.
현재 미국 연준의 대차대조표 규모는 7조달러(약 7824조원) 이상으로 알려졌다.

미국 연준은 벤 버냉키가 당시 의장이던 지난 2013년 양적완화 종료를 시사하면서 당시 신흥 시장에 ‘테이퍼 탠트럼(긴축 발작)' 충격을 일으켰다. 당시 버냉키의 발언으로 신흥국의 자산가격 급락과 자본 유출이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미국 국채 가격도 폭락한 바 있다.

연준은 2013년 12월부터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했으나 금리는 2년동안 올리지 않고 유지했다.

파월의 이번 발언은 언젠가 있을 연준의 현 통화정책 중단 이후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해줬다고 마켓워치는 평가했다.

파월은 테이퍼 시작 시기에 대해서는 미국 경제의 상태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며 구체적인 날짜는 언급하지 않았다.

경제전문가들은 올해 미국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앞으로 분기당 10% 성장률까지 점치고 있다.

연준은 미국내 고용 확대와 물가가 안정적인 2%대 상승률을 유지할때까지는 양적완화를 축소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금리 또한 완전 고용과 인플레율이 2%까지 오를때까지는 인상하지 않을 예정이다.

경제전문가들은 연준이 양적완화 축소는 내년초부터, 금리 인상은 내후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지만 일부에서는 더 앞당겨 실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파월 의장은 가상화폐는 투기 수단으로 결제 수단의 지위에 아직 오르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가상화폐가 활발하게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투기를 위한 수단”이라고 말했다고 경제전문방송 CNBC가 보도했다.

파월 의장은 가상화폐를 금에 비유하면서 “인류는 수년동안 실제로 특별한 가치가 없는 금에 너무 많은 것을 부여했다”라고 지적했다.


파월 의장의 전임자인 재닛 옐런 현 미국 재무장관도 지난 2월 인터뷰에서 비트코인이 투기성 자산이라며 통화전달과정으로 널리 사용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거래도 매우 비효율적인 방법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