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증시 명품기업 주가 줄상승
S&P 글로벌럭셔리 1년새 12%↑
LVMH 73%·에르메스 47% 수익
국내시장서도 실적 호조세 이어가
대부분 직투 어려운 佛시장 상장
ETF·펀드 등 대안으로 떠올라
S&P 글로벌럭셔리 1년새 12%↑
LVMH 73%·에르메스 47% 수익
국내시장서도 실적 호조세 이어가
대부분 직투 어려운 佛시장 상장
ETF·펀드 등 대안으로 떠올라
■명품기업, 주가 상승률도 '명품'
2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글로벌 명품기업 주가를 반영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럭셔리' 지수는 4533.29를 기록했다. 전날보다 0.8% 하락했지만 지난해 4월과 비교하면 12.35% 상승했다.
유럽 증시에 상장된 주요 명품 기업의 주가가 오르면서다. 지난해 4월 20일 기준 각각 360.45유로, 694.80유로였던 LVMH와 에르메스 주가는 이날 624.90유로, 1020유로에 거래됐다. 코로나19를 겪은 1년 간 73%, 47%의 수익률을 기록한 셈이다.
실적도 뒷받침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불황에도 불구하고 명품 시장은 '활황'을 이어가면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올해 처음 공개된 루이비통코리아의 지난해 매출은 1조468억원, 전년에 비해 33%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전년보다 각각 177%, 285%나 급증했다.
루이비통과 함께 '3대 명품'으로 꼽히는 에르메스와 샤넬의 국내 실적도 호조세를 보였다. 에르메스코리아의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 순이익 모두 전년 대비 16% 증가했다. 샤넬코리아의 경우 매출은 전년보다 13% 줄었지만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34%, 32% 증가했다.
■명품기업 간접투자하는 국내외 상품은
글로벌 럭셔리 기업들의 호실적이 이어지자 '명품백' 대신 '명품주' 구입을 고려하는 투자자도 늘어나는 모양새다. 다만 개인투자자가 이들 기업 주식을 직접 사들이는 건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럭셔리 기업 중 국내 상장사는 전무하고 주요 기업들도 미국이 아닌 유럽 시장에 상장해 있어서다. 럭셔리 기업 중 규모가 가장 큰 LVMH를 비롯해 에르메스, 케링 등은 모두 '유로넥스트'가 운영하는 파리 거래소에 상장해 있다. 프라다는 홍콩 거래소에 이름을 올렸고 샤넬과 로렉스는 비상장기업이다.
대안으로 꼽히는 방법은 글로벌 럭셔리 기업들에 투자하는 관련 ETF 등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다.
관련 ETF로는 코스피에 상장한 '하나로 글로벌 럭셔리 S&P ETF'가 있다. 이 상품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S&P 글로벌 럭셔리 지수를 좇는 명품 테마 ETF로 NH아문디자산운용이 지난해 5월 상장했다.
공모펀드도 있다. IBK자산운용의 'IBK럭셔리라이프스타일펀드'와 한국투자신탁운용의 '한국투자글로벌브랜드파워펀드' 등이다. 이들 펀드의 최근 1년 수익률은 각각 69.5%, 57.4%로 양호하다.
미국 증시에도 투자하는 '서학개미'라면 '엠레스 글로벌 럭셔리 50' 지수를 추종하는 '엠레스 럭셔리 굿즈 ETF'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 ETF는 1년간 5.26% 수익을 냈다. 대표적인 명품 테마 펀드 중 가장 높은 1년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아문디 S&P 글로벌 럭셔리 ETF지만 유럽에 상장돼 있어 접근성이 낮다.
오린아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기간에도 거의 꺾이지 않았던 명품 부문의 신장률이 더욱 가팔라지고 있어 이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jo@fnnews.com 조윤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