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여순환이체 등 차별화 나서
시중은행보다 고객 규모 적어
"흥행 어려울 것" 업계 우려도
시중은행보다 고객 규모 적어
"흥행 어려울 것" 업계 우려도
그러나 저축은행은 지난 2019년 말부터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작한 시중은행보다 출발이 늦은데다 1금융권보다 고객 규모가 크지 않은 점이 극복해야할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오픈뱅킹'은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모든 은행의 계좌 조회, 결제, 송금 등을 할 수 있는 금융 서비스를 말한다.
4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대형 저축은행은 전날부터 자체 앱을 통해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작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 3일 '사이다뱅크' 앱에 이어 이날 SBI스마트뱅킹에서 오픈뱅킹 서비스(사진)를 선보였다.
차별성을 높이기 위해 사이다뱅크에는 금융권 최초로 '급여순환이체 기능'을 도입했다.
이는 여러 계좌의 급여 이체 실적을 한 번에 달성할 수 있는 서비스로, 시작계좌와 남길 금액 등을 설정하면 5개의 계좌에 순차적으로 이체할 수 있다.
SBI저축은행 관계자는 "대출 우대 금리 조건으로 자동이체실적 등이 포함되는데, 단 한번의 설정만으로 실적달성이 필요한 각 계좌에 자동이체할 수 있도록 해 편리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또다른 앱인 SBI스마트뱅킹에서도 타 은행의 입출금과 이체, 잔액·거래내역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웰컴저축은행도 지난 3일 자체 앱인 '웰컴디지털뱅크'에서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작했다.
웰컴저축은행은 기존에 제공해온 '쭉이체'(이체 서비스)나 '평생계좌' 서비스 외에 차별화된 서비스 제공을 검토 중이다.
웰컴저축은행 관계자는 "아직 구체화되지 않았지만, 오픈뱅킹 등에 맞춘 상품이나 서비스를 계획 중"이라고 했다.
이같은 저축은행업계의 오픈뱅킹 서비스를 두고 기대와 우려의 시선이 교차한다.
전금융권에서 이체·송금이 가능하다보니 1금융권 고객을 더 유인할 기회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는 반면, 한발 앞서 오픈뱅킹서비스를 시작한 시중은행 보다 출발이 늦어 추가 고객 확보에 어려움이 따를 것이라는 지적이 엇갈리고 있는 것이다.
한편, 저축은행중앙회는 자체 앱을 보유하지 않은 73개 저축은행 등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지난달 29일 'SB톡톡+'에서 오픈뱅킹 서비스를 시작했다. 타 업권과의 차별성을 높이기 위해 오는 8월에는 생체정보를 이용해 앱을 이용할 수 있는 '(가칭)단일인증서비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jyyoun@fnnews.com 윤지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