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초대형·친환경 선박 확보, 운임 경쟁력·항로 확대로 이어진다 [부흥기 맞는 K-해운]

홍예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05.24 17:44

수정 2021.05.24 17:44

<下> 해운강국 향한 중장기 전략
국내 유일 국적선사 HMM
총 선복량 75만TEU 세계 8위
2위 MSC 올해만 66만TEU 늘려
몸집격차 갈수록 벌어지는 형국
글로벌 해운동맹 가입 위해서도
규모의경제·환경규제 발맞춰야
초대형·친환경 선박 확보, 운임 경쟁력·항로 확대로 이어진다 [부흥기 맞는 K-해운]
한국 해운산업은 이제 장기전을 준비하고 있다. 국내 대표 국적선사 HMM(옛 현대상선)의 호실적으로 해운강국의 초석은 마련됐지만, 해운업이 사이클에 의존하는 산업인 만큼 '긴장의 끈을 놓지 말자'는 분위기다. 잘나갈 때 불황에 철저히 대비하자는 것이다. 특히 10여년 전 글로벌 해운업체들의 '운임 치킨게임'에서 쓴맛을 봤던 HMM은 다음번 위기에는 흔들리지 않기 위해 초대형선 확보, 미주항로 보강 등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아울러 해운업계 내 치킨게임에 대비해 친환경선박 도입으로 경쟁력을 배가시킨다는 복안이다.

■초대형선 추가 발주…미주항로 보강

24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 상반기 중 HMM에 1만3000TEU급 컨테이너선 10여척의 추가 발주를 지원한다. 이 선박들은 미주노선에 투입될 전망이다. 미주항로는 2만4000TEU급 초대형 선박이 운항하기 어렵다.
1만3000TEU급이 가장 효율적이다. 엔진 연료효율도 크게 개선됐다. 해운업 호황기를 맞아 글로벌 해운사들의 몸집 부풀리기가 심상치 않자 2~3년 뒤 닥칠 불황기를 준비하자는 것이다.

미래경쟁력 대비 차원에선 단연 초대형 선박 투입이 관건이다. 단위당 원가를 크게 낮춰 비용경쟁력이 올라간다. 저가운임 공세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구조가 된다. 초대형선은 글로벌 해운동맹의 가입 주요 요건이기도 하다. 동맹사들은 노선을 공동운항해 더 많은 지역에 진출하고, 비용도 아낄 수 있다. 과거 초대형선이 없어 얼라이언스에 가입하지 못했던 HMM도 지난해 마침내 '디 얼라이언스'에 가입했다. HMM은 정부 지원에 따라 지난해 2만4000TEU급 선복 12척, 올해 3월부터는 1만6000TEU급 8척을 인도받고 있다.

하지만 유일한 국적선사 HMM이 더욱 성장하기 위해선 추가 선대확충이 절실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HMM의 총선복량은 약 75만TEU로 세계 8위에 올라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물동량이 증가한 데다 운임 고공행진이 이어지며 오랜만에 웃게 된 글로벌 해운사들은 신조 선박에 공격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해수부에 따르면 최근 6개월간 전 세계에서 발주된 배는 1만3000TEU급 대형선 약 110척이다.

현재 해운업계 2위인 MSC는 66만TEU에 달하는 신조 선박을 주문했다. HMM의 총선복량에 육박하는 규모다. 1위 업체 머스크가 신규 발주를 하지 않을 경우 MSC가 선복량 1위 선사에 오를 전망이다. 3위 코스코는 27만6000TEU, 4위 CMA CGM도 35만4000TEU 규모의 신규 선박을 발주해놓은 상태다.

이 선박들이 2~3년 뒤 쏟아져 나오면 운임이 떨어지고, 저가운임 경쟁이 재개될 가능성이 높다. 과거엔 국적선사 한진해운이 파산하는 뼈아픈 경험을 했다. 정부와 해수부는 2025년까지 HMM 선복량을 112만TEU까지 끌어올릴 계획이지만 상위 선사들과의 몸집 차이는 점점 더 벌어지는 모양새다. 운임은 시장 상황에 따라 오르내리는 변수다. 결국 HMM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글로벌 해운사가 되기 위해선 초대형선 추가 발주가 필요하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지금 흑자가 나는 기본적인 이유는 HMM의 초대형선 발주"라면서 "'운임이 올라갔다' '물가가 내려갔다'는 것들은 전부 부수적인 효과"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초대형선이 없었으면 얼라이언스 가입 자체가 안되기 때문에 유럽항로에 배를 못 띄운다"고 덧붙였다.

■'친환경 선박시대' 준비

최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글로벌 화두로 떠오르는 등 친환경 기업경영은 우리 해운업에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세계적인 온실가스 저감 흐름에 따라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의 온실가스 규제는 해운업에 높은 부담으로 다가왔다. 2018년 IMO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총량을 2050년까지 2008년 대비 50%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또한 선박 연료유의 황 함유량 상한선을 3.5%에서 0.5%로 강화했다. 친환경 선박은 해운산업이 피할 수 없는 현실이자 미래인 셈이다.

해양진흥공사는 친환경 설비장치가 기본 장착된 신조선 선박금융에 대한 투자와 보증을 지원하고, 친환경선박 확보에 나서는 등 환경위기 극복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친환경 설비를 장착한 신조 선박은 일반 선조보다 건조가액이 높다.

또한 공사는 국제환경규제에 발맞춰 노후선박에 대한 폐선보조금을 지급하고, 기존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조기에 대체하도록 유도해 해운사의 선대 효율화 및 해운·조선업계의 상생협력을 유도하고 있다.
아울러 선박 평형수 처리장치, 황산화물 저감장치 등의 친환경설비 설치에 필요한 자금에 대해 공사가 특별보증을 제공해 선사가 저금리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공공과 민간선박 528척을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70% 줄일 수 있는 감축기술을 자체 개발, 소형 연안선박에 시범 운항한 후 기술성·경제성이 검증되면 대형 선박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