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세·항공'맏형' 롯데·한진 휘청
일본 재계와 교류통해 활로 모색
한 때 500억원에 달했던 전국경제인연합회의 가입사 회비 규모가 70억원 대까지 쪼그라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농단 사태에 따른 4대그룹 탈퇴에다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타격을 입은 기업들이 회비를 제대로 내지 못했기 때문이다.
일본 재계와 교류통해 활로 모색
20일 전경련 사업보고서 및 결산서에 따르면 전경련은 지난해 약 71억원의 회비 수익을 거뒀다고 공시했다. 이는 2020년 101억원 대비 30억원이 감소한 수준이다. 전경련 회비수익은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기 직전인 지난 2015년에 492억원에 달했다. 2016년 전경련이 박근혜 정부의 국정농단과 정경유착의 채널 역할을 한 것이 드러나면서 2017년 삼성, 현대차, SK, LG 등 4대그룹이 모두 떠나게 됐다. 당시 4대그룹은 492억원 중 77%인 378억원을 부담한 것으로 알려졌다.
엎친 데 겹쳐 지난해에는 코로나19로 현재 가장 큰 회원사인 롯데와 한진이 직격탄을 맞았다. 재계 한 관계자는 "면세·호텔·유통·항공 업종의 실적 악화로 롯데와 한진의 계열사들이 휘청였다"며 "이들을 비롯한 다수의 기업들이 전경련 회비를 아예 납부하지 못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회비 급감으로 지난해 전체 사업수익이 465억원을 기록, 전년대비 38억원이 줄었다. 다만 전경련은 서울 여의도 회관 임대료 수익(234억원), 입주사 관리비(151억원) 등 사옥을 통해 수익을 충당하고 있다.
아울러 조직도 대폭 축소됐다. 재계 '맏형'이던 전경련을 대신해 대한상공회의소가 대표 경제단체로 급부상했고, 당정의 파트너 역할을 도맡았다.
최근 몇년간 구조조정을 지속해 온 전경련은 강점인 일본 재계와 교류를 통해 부활을 노리고 있다. 코로나로 국경이 봉쇄된 상황에서 양국 기업인의 원활한 교류를 위해 '한·일 기업인 특별입국 절차'에 합의하는 등 민간 중심의 관계 복원에 앞장선 사례가 대표적이다. 아울러 지난 16일에는 주한 일본대사 초청 기업인 간담회를 여는 등 수출규제 사태 이후 꽉 막힌 일본과의 관계를 풀어가면서 활로를 찾고 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