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식 크래프트테크놀로지 대표
김형식 크래프트테크놀로지스 대표(사진)는 28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본사에서 파이낸셜뉴스와 만난 자리에서 "성장 기술주로 분리되는 아마존 같은 경우 매출의 30% 이상을 연구개발(R&D)에 투자하기 때문에 가치주로도 볼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미국 나스닥에 상장한 '크래프트 AI 인핸스트 미국 대형주 넥스트밸류 ETF(NVQ)'는 이같은 변화를 담은 신개념 가치주 펀드다.
가치주에 투자하되 유형자산 뿐 아니라 무형자산의 가치까지 고려해 기업을 평가하고 종목을 선택한다.
무형가치에는 특허권, 브랜드 가치, 내부조직 투자비용 등 섹터별로 함수가 달라진다. AI가 매달 방대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딥러닝을 통해 아웃퍼폼 가능성이 높은 종목을 선별하고 비중을 리밸런싱한다.
성과는 상당하다. 올들어 현재(6월 25일 종가 기준)까지 NVQ의 수익률은 23.34%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가치지수(15.61%)를 훌쩍 뛰어넘는다.
테슬라 주가 흐름을 비교적 정확히 맞춰 '테슬라 족집게'로 불리는 '크래프트 AI 인핸스트 미국 대형주 모멘텀 ETF(AMOM)' 역시 같은 기간 S&P500모멘텀지수(9.76%)를 상회하는 수익률(13.59%)을 거두고 있다.
운용자산(AUM) 규모도 덩달아 급증하고 있다. NVQ는 64억원, AMOM 389억원이며 나스닥에 상장된 다른 ETF(QRFT·HDIV)까지 포함하면 총 756억원 규모다.
최근 관심을 보이고 있는 해외 연기금과 국부펀드까지 뛰어든다면 그 규모는 더 커질 전망이다.
김 대표는 "채권시장은 금리인상을 앞두고 있고 주식시장은 밸류에이션 부담이 커지고 있어 기관 투자자들이 AI에서 희망을 찾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딥러닝 기술을 자산운용과 접목시킨 AI가 시장 상황을 판단하고 더 객관적으로 비중이나 종목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일부 해외 연기금과 국부펀드에서 AI 운용 가능성이 있는지 테스트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큰 시장이 열릴 수 있다고 김 대표는 예상했다.
김 대표는 "현재 AI 자산운용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고 있는데 공급은 비탄력적"이라고 지적했다. 역사가 짧은데다 관련 기술이 검증되려면 최소 2~3년이 걸리기 때문에 선점효과가 크다.
김 대표는 "AI 자산운용 시장이 열릴 때 중요한 플레이어가 되는게 저희 전략"이라고 덧붙였다.
sjmary@fnnews.com 서혜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