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창가'를 두고 우리끼리 싸울수록 일본만 웃는다. 대일 관계 해법은 이미 오래전에 나왔다. 김대중 대통령은 취임 첫 해인 1998년 10월 일본을 국빈방문해 아키히토 '천황'을 만났다. 훗날 김 대통령은 자서전에서 "외교가 상대를 살피는 것이라면 상대 국민이 원하는 대로 호칭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했다. 나는 궁성 만찬에서 과거사는 일절 언급하지 않았다"고 회고했다. 이를 토대로 '21세기 새로운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곧 김대중·오부치 선언이 나왔다.
노무현 대통령도 취임 첫 해인 2003년 6월 일본을 국빈방문해 '천황'을 만났다. 노 대통령은 일본 국회 연설에서 당당히 과거사를 언급하기도 했지만 "양국이 함께 21세기 동북아 시대를 열어나갈 것을 제안한다"는 말도 잊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도 대일 인식에 변화가 감지된다. 연초 기자회견에서 "(위안부 피해자 배상 판결은) 솔직히 조금 곤혹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과거사는 과거사이고, 한·일 간에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해 나가야 하는 것은 그것대로 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3·1절 기념사에선 "과거에 발목 잡혀 있을 수는 없다"며 "한국은 도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협력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우리 사회 어느 누구도 김대중·노무현·문재인 대통령에게 친일 프레임을 씌우지 않는다. 투트랙,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가 올바른 길이라는 데 공감하기 때문이다. '죽창가' 논란은 시대착오적이다. 우리끼리 싸워봤자 득될 게 없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