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뉴스1) 김경훈 기자 = 대전시민들이 자전거 거치대 부족, 도난 위험성 등으로 자전거를 개인 교통수단으로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충남녹색연합이 지난 5월 8일부터 두 달간 50여명의 시민들과 함께 대전 22개 지하철역 주변 자전거 거치대 모니터링 결과와 자전거 이용 활성화 및 도난 방지에 대한 시민 설문조사 결과 이같이 나왔다고 20일 밝혔다.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대전 지하철 주변에는 3298대의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설치돼 있지만, 도난방지 장치나 CCTV가 설치돼 있는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거치대가 많이 설치된 역은 노은역(285대), 유성온천역(226대), 대전시청역(195대), 대전역(186대) 순이었으며, 중구청역은 24대로 다른 곳에 비해 거치대 수가 현저히 낮았다.
녹색연합 측은 "대전의 인구 1000명당 자전거 거치대 수는 5.65대로 전국 17개 지자체중 14번째에 해당한다"고 말했다.
거치대에 세워진 자전거 3대 중 1대 꼴은 방치 자전거로 판암역, 신흥역, 탐방역 순으로 방치 비율이 높았다.
시민 222명을 대상으로 한 자전거 보관 및 활성화 관련 설문조사에서 응답자 215명 중 65.1%인 140명이 본인 또는 가족이 '자전거 도난 경험이 있다'라고 답했다.
도난방지 대책으로는 IT활용 가능한 보관소 설치가 104명(46.8%)으로 가장 많았고, 거치대 CCTV 설치 103명(46.4%), 실내 보관소 설치 85명(38.5%) 순이었다. 대중교통 이용 시 휴대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견도 76명(34.4%)이나 됐다.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선 46.2%가 위험한 자전거 도로 개선을, 31.2%가 자전거를 우대하는 교통운영을 꼽았다.
녹색연합 관계자는 "시민들이 교통수단으로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가림막 자전거 거치대를 확대하고 거치대 안내 표지판 설치, 실내 자전거 보관소 설치 등 자전거 활성화 정책에 보다 많은 예산과 인력을 투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