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5개월 연속 2%대 '4년 만에 처음'
2분기 0.8% 성장률 중 내수기여도 2.5%p인데 7월 민간소비 '둔화'
개인대출 금리 1% 상승시 가계대출 이자 11.8조 급증
이자보상배율 1미만 업체 50.9% "피해계층 부담 커진다"
[파이낸셜뉴스] 물가 상승률이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면서 기준금리 추가인상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탓에 2·4분기 경제성장을 견인했던 민간 소비가 꺾일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무엇보다 지난해 코로나19 기간 대출로 근근이 위기를 견뎌온 자영업자들의 대출이자 상환부담이 더 커질 것이란 지적이다.
2분기 0.8% 성장률 중 내수기여도 2.5%p인데 7월 민간소비 '둔화'
개인대출 금리 1% 상승시 가계대출 이자 11.8조 급증
이자보상배율 1미만 업체 50.9% "피해계층 부담 커진다"
5일 증권가에 따르면 국내 증권사들은 한국은행이 11월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 기준금리를 1%대까지 끌어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 가계부채 증가로 인한 금융불균형 완화에 중점을 두고 금리인상을 단행한 만큼, 이번 기준금리 인상의 정책효과를 10월까지 확인한 뒤 11월 올릴 것이란 설명이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지난 8월 26일 기준금리를 기존 0.5%에서 0.75%로 전격 인상했다. 당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첫 발을 뗐다"며 추가 인상을 시사했다.
그러나 최근 물가가 추가 인상 시기를 앞당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8월 물가 상승률이 2.6%로 다시 연중 최고치까지 치솟았기 때문이다. 물가상승률은 지난 4월(2.3%)이후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 중이다. 물가 상승률이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17년 1∼5월 이후 4년 만에 처음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기준금리 인상 요인은 금융시장, 자산시장 이런 쪽에서의 불균형이 주된 원인"이라면서도 "물가 상승률이 높은 것도 향후 금리 추가 인상의 결정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기준금리 추가 인상이 겨우 살아난 경기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는 점이다. 코로나19 재확산으로 가뜩이나 소비 위축이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이자 상환부담 등이 커질 경우 소비여력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실제 되살아나던 내수 경기는 코로나19 재확산 이후 주춤하는 모습이다. 지난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기 대비 0.8%, 1년 전 대비 6.0% 성장했다. 2·4분기 성장률 0.8% 중 내수의 성장기여도는 2.5%포인트(p)인 반면 수출에서 수입을 뺀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외려 -1.7%p에 불과했다. 2009년 2·4분기(3.6%) 이후 1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민간소비가 경기를 살린 셈이다. 그러나 민간소비는 벌써 위축되는 조짐이다. 7월 소매판매액 지수(계절조정)는 119.3(2015년=100)으로 0.6% 감소했다. 소매판매액도 5월(-1.8%) 이후 두 달 만에 감소했다.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7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2포인트 하락해 14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편, 주요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는 불과 3개월 만에 0.5%p 가까이 상승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3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연동)는 연 2.80∼4.30% 수준이다. 약 3개월 전 5월 말(2.35∼3.88%)과 비교해 하단과 상단이 각 0.45%p, 0.42%p 높아진 것이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