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식량가격지수는 지난 1월 113.3에서 2월 116.4, 3월 119.1, 4월 121.9, 5월 127.8 까지 5개월 연속 상승했다. 6월과 7월 전월 대비 하락하는 듯했지만 8월 전월(123.5p) 대비 3.1% 상승한 127.4p를 기록하며 3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특히 곡물가격지수는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96.4p였지만,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치솟아 올해 8월 현재 127.1p까지 31.9%가량 치솟은 상태다.
식량가격이 치솟고 있지만 일본은 걱정이 덜하다. 일본은 호주와 양자 협력관계를 구축해 둔 덕분에 비상시에도 호주(2020년 말 1520만t 생산)로부터 밀을 수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은 2014년 호주와 양자 간 경제파트너십협정(EPA)을 맺었고, 호주는 수출금지를 취하지 않도록 합의했다.
멕시코도 지난 2007년 상반기 이른바 '토르티야 위기' 이후 선도계약 프로그램이라는 자국의 식량안보를 위한 장치를 마련했다. 멕시코의 주식인 토르티야 재료인 옥수수 생산을 장려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이 프로그램의 핵심은 옵션 매입을 통해 생산자는 계약 가격보다 유리한 가격에 판매하고 구매자는 계약 가격보다 유리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멕시코가 2011년 국제곡물가격 급등 영향을 피할 수 있던 비결이다.
지난 2001년 곡물 순수입국이 된 중국은 중국농업발전그룹, 충칭식량그룹, 헤이룽장농간총국 등 국유기업을 통해 글로벌 메이저 곡물회사 지분을 사들이는 방식으로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특히 지난 2016년 대규모 국유기업인 중량집단유한공사(COFCO)는 네덜란드 곡물회사 니데라 지분 100%를 인수해 아처 대니얼스 미들랜드, 번지, 루이 드레퓌스, 글렌코어 등과 더불어 세계 6대 곡물회사로 꼽히게 됐다. COFCO는 이 중 유일한 국유기업이다.
이에 비해 우리는 민간기업 팬오션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을 통해 각각 미국 EGT 곡물터미널 지분 36.25%과 우크라이나 곡물터미널 지분 75%를 확보 중이다. 단 이들 기업을 통해 공급된 물량은 모두 사료용으로 각각 19만7000t, 6만8000t에 그친다. 국가식량계획을 통해 쌀 비축량을 45만t으로 10만t 확대키로 했지만 '제2의 주식'인 밀 비축량은 지난해 기준 853t으로 전년 1만20t 대비 91.6% 급감했다. 우리 국민 하루 소비량의 7분의 1에도 못 미친다.
fact0514@fnnews.com 김용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