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검찰·법원

[법조인사이트]대선후보 尹도 피할 수 없다..역대 검찰총장 수난사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0.03 17:25

수정 2021.10.03 17:25

[파이낸셜뉴스]
검찰총장 임기제 도입 후 중도 사퇴한 검찰총장
기수 이름
24대 김두희
25대 박종철
27대 김기수
28대 김태정
30대 신승남
31대 이명재
32대 김각영
34대 김종빈
36대 임채진
37대 김준규
38대 한상대
39대 채동욱
41대 김수남
43대 윤석열

홍준표·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후보/사진=뉴시스
홍준표·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예비후보/사진=뉴시스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가 연일 논란의 중심인 가운데, 역대 검찰총장 수난이 새삼 주목 받고 있다. 지난 2019년 7월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그는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수사와 월성 원전 1호기 수사 등으로 정부와 계속 대립했다. 임기를 4개월 남기고 퇴임한 그는 “이 나라를 지탱해온 헌법정신과 법치 시스템이 파괴되고 있다”며 물러났다.

윤 전 총장은 이로써 14번째 ‘중도 하차’ 한 검찰총장으로 기록됐다. 지난 1988년 검찰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한다며 2년 임기제가 도입됐지만 이후 22명 중 임기를 채운 총장은 8명에 불과하다.


■尹, 대선 출마 위해 총장직 내려놨나?
3일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총장 출신으로 대권에 도전하는 것은 윤석열 전 총장이 최초다. 역대 44명의 검찰총장 출신 중에 국회의원이 돼서 정치에 입문한 경우도 장영순(9대), 김종경(16대), 김기춘(22대), 김도언(26대) 등 4명으로 알려졌다. 검사 출신 대권후보인 홍준표 의원의 경우 15대 국회를 시작으로 5선과 당대표 등 다수의 정치 경력을 쌓았다. 윤 총장 후보는 총장 사임 후 3개월 뒤인 6월 대선 출마를 공식화 했다.

전정주 경북대 로스쿨 교수는 “당시 여권이 검찰개혁을 명분으로 윤 전총장의 정권 주요 사건에 대한 수사를 부담스러워 했을 것”이라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에 이어 중대범죄수사청을 설치해 검찰 힘을 빼던 상황에서 윤 전 총장이 자리를 지켰다면 검찰조직은 공소기능만 남는 사실상 껍데기 조직으로 전락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검찰 독립성 지켜야” 정부·정치권과 대립 끝 사퇴
윤 전 총장처럼 정부나 정치권과 갈등을 빚다가 직을 내려놓은 사례는 많다. 국민의정부 말기에 임명돼 참여정부 출발을 함께한 32대 김각영 총장(2002.11.11~2003.3.10)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진보 성향 강금실 변호사를 법무부 장관에 임명한 것에 반발했다.

그는 “새 정부가 파격 인사라는 이름 아래 기준 없는 인사를 벌이고 있다”며 취임 4개월 만에 물러났다.

34대 김종빈 총장(2005.4.3~2005.10.17)은 윤 후보처럼 법무부 장관과 대립했다. 천정배 당시 법무부 장관은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고발된 강정구 당시 동국대 교수에 대해 불구속 수사를 하라고 사상 첫 수사 지휘권을 발동했다. 김 전 총장은 지휘권 발동을 받아들였지만 “검찰 독립성이 훼손됐다”며 직을 놓았다.

37대 김준규 총장(2009.8.20~2011.7.13)은 ‘검·경 수사권 조정’ 국면에서 당초 합의와 다르게 국회가 경찰의 수사 개시권을 포함한 법률안을 통과시키고 검찰 고위 간부의 사의 표명이 잇따르자 사퇴했다. 임기 만료를 고작 1개월여 앞두고 있었다.

39대 채동욱 총장(2013.4.4.~2013.9.30)은 ‘혼외자 의혹’이 제기되고 황교안 당시 법무부 장관이 감찰에 나서자 사의를 표했다. 채 전 총장이 ‘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사건’ 수사를 지휘했기에 정부에서 압박이 들어온 것 아니냐는 뒷말이 있다.

■바람 잘 날 없는 자리...사건·사고에 책임지며 사퇴
사건·사고에 ‘책임지는’ 차원에서 사직서를 낸 사례들도 있다. 주가조작에 정·관계 유력 인사 등이 연루됐다는 의혹이 있어 김대중 정부를 상처 입힌 ‘이용호 게이트’에 30대 신승남 총장(2001.5.26~2002.1.15)의 동생이 연루돼 구속되자 신 총장은 도의적 책임을 지고 물러났다. 그 뒤를 이은 31대 이명재 총장(2002.1.17~2002.11.5)도 서울지검(현 서울중앙지검) 피의자 고문치사 사건에 책임을 표하며 사퇴했다.

36대 임채진 총장(2007.11.24~2009.6.5)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 수사를 받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자 사표를 냈다.

이 밖에 38대 한상대 총장(2011.8.12~2012.11.30)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폐지를 포함한 자체 검찰 개혁안을 추진하다가 대검 내부의 반발에 부딪히는 바람에 밀려나다시피 물러났다.
2016~2017년 ‘국정 농단’과 탄핵 정국을 통과한 41대 김수남 총장(2015.12.2~2017.5.14)은 박근혜 전 대통령이 구속되고 19대 대선에서 정권 교체가 이뤄지자 “자신의 소임을 다했다”며 사퇴했다.

hwlee@fnnews.com 이환주 김해솔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