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환자 증가세..탈모인구 1000만명 분석도
기능성탈모증, 원형탈모와 달리 건강보험 제외
"치료비 부담 커..건강보험 적용해야"
"탈모는 미용목적..건강보험 적용 어려워"
기능성탈모증, 원형탈모와 달리 건강보험 제외
"치료비 부담 커..건강보험 적용해야"
"탈모는 미용목적..건강보험 적용 어려워"

[파이낸셜뉴스] 최근 탈모인구가 증가하면서 우울증 등 파생질환으로 이어지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남성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인한 기능성탈모는 원형탈모와 달리 건강보험 적용 항목에서 제외되고 있다. 이로 인해 기능성탈모를 질병으로 인정해 건강보험으로 보장하자는 주장과 탈모는 미용목적일뿐 질환은 아니라는 반론이 충돌하고 있다.
■늘어나는 2030·여성 탈모환자
1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올해 1·4분기 탈모증 환자는 14만2810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전체 탈모증 환자는 57만5522명으로 조사됐는데 2014년 49만2219명 대비 약 17% 가량 증가한 수치다.
다만, 대한탈모치료학회 등 학계와 제약업계는 탈모증을 겪는 인구를 전체 인구의 20% 가량인 1000만명 가량으로 추산하고 있다. 탈모치료를 받지 않거나 병원치료 대신 기능성 샴푸, 영양제 복용 등으로 대체하는 환자가 많다는 분석이다.
■ "건강보험 미적용..치료비 비싸다"
탈모 인구 증가로 기능성탈모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요구도 커지고 있다.
20대 후반 김도영씨는 "기능성탈모는 복용약에 보험 적용이 안된다. 하루에 한 알씩 먹는 세 달치 복용 약값은 세 달에 10만원 가량"이라며 "약값이라도 조금 줄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30대 직장인 이모씨도 "정수리 탈모가 생긴 뒤로 빛이 강한 곳에 나가기 무서워졌다. 여러 사람이 모이는 곳을 꺼리는 성향도 생겼다"며 "탈모로 인한 일상 불편이 크다. 탈모도 질병으로 보고 치료비 부담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양천구에서 피부과를 운영하는 한 의사는 "병원을 찾는 젊은 탈모 환자들은 꾸준히 늘고 있다"면서 "탈모약은 꾸준히 복용해야하기 때문에 젊은 사람들에겐 약 성분이 똑같은 복제약을 주로 처방해준다"고 설명했다.
■"탈모는 미용목적일 뿐"
반면 기능성탈모를 질병으로 인정해선 안된다는 반론도 거세다. 탈모는 자연스러운 노화과정이거나 미용목적이라는 입장이다.
20대 후반 최모씨는 "탈모 자체로 생명이나 일상적 건강생활에 지장이 오진 않는 것 같다"며 "탈모치료는 미용목적적으로 본다. 차라리 건강보험으로 다른 질병 보장을 늘리는게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역시 기능성탈모는 '노화'와 '미용'의 개념이라는 설명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통상 대머리라고 하는 기능성탈모는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가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노화와 같은 것"이라며 "기능성탈모 복용약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요구는 미용목적인 모발이식에 건강보험을 적용해달라는 것과 같다. 건강보험 취지에 맞지 않다"고 답했다.
juyong@fnnews.com 송주용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