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종목▶

[파이낸셜뉴스] 삼성SDI는 올해 3·4분기 매출액이 전년동기대비 11.4% 증가한 3조4398억원, 영업이익은 39.7%가 늘어 3735억원을 각각 달성했다고 2일 밝혔다.
영업이익과 매출 모두 분기 최대 실적이다.
에너지 및 기타부문의 매출은 2조740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5.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46%가 증가한 2018억원을 시현했다.
중대형 전지는 전분기 대비 수요 감소에도 흑자를 유지했다.
삼성SDI 관계자는 "자동차 전지는 차량용 반도체 부족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을 받았지만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늘었다"면서 "에너지저장장치(ESS)는 주요 프로젝트의 공급일정 영향으로 매출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소형전지는 매출이 성장하고 수익성도 향상됐다. 원형 전지는 전기차, 전기자전거 등 모빌리티 중심으로 매출이 증가했고 파우치형 전지는 주요 고객의 신규 스마트폰과 웨어러블용 판매 증가로 수익성이 개선됐다는 설명이다.
전자재료 부문 매출은 6989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0.7% 감소했지만 전분기 대비로는 12.3%가 늘었다. 영업이익은 전년동기대비 32.9%, 전분기 대비로는 35.7% 늘어난 1717억원을 기록했다.
전자재료는 고부가 제품 매출이 전분기대비 늘어나며 수익성이 개선됐다. 반도체 소재는 SOH 등 고부가 제품이 성장했고 OLED 소재는 플래그십 스마트폰용 매출이 증가했으며 편광 필름도 대형 TV용 판매 비중이 확대됐다.
삼성SDI는 4·4분기 중대형 전지가 신기종 고부가 제품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자동차 전지는 반도체 수급 이슈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젠5' 배터리 공급 확대로 판매가 늘고 ESS는 무정전전원장치(UPS)와 가정용 ESS 중심으로 판매가 증가해 수익성 개선을 기대했다.
소형전지는 원형전지 중심의 판매 확대를 예상했다. 원형전지는 전기차 전동공구 등 주요 애플리케이션용으로 판매가 증가하고 파우치형 전지는 해외 고객 신규 스마트폰용으로 판매가 확대될 것으로 기대했다.
전자재료 부문은 반도체와 OLED 소재의 판매 확대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됐다.
삼성SDI 관계자는 "반도체 소재는 판매가 소폭 증가하고 OLED 소재도 스마트폰용으로 채용이 확대되면서 판매 증가가 전망된다"면서 "다만 편광필름은 계절적 비수기 영향으로 판매 감소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kim091@fnnews.com 김영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