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KIEP "내년 세계경제 4.6% 성장 전망…中헝다, 큰 문제 안될 것"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1.11 14:55

수정 2021.11.11 14:55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2년 세계경제' 전망 발표
올해는 5.9% 성장률 전망
[세종=뉴시스] KIEP, 2022년 세계경제 전망
[세종=뉴시스] KIEP, 2022년 세계경제 전망

[파이낸셜뉴스] 내년 세계경제는 코로나19 위험이 축소되면서 4.6%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지난해 코로나19 여파로 3.3% 역성장 했던 세계경제는 올해 백신 접종 확대와 거리두기 완화, 선진국의 지속적인 확장 재정정책 등으로 큰 폭의 반등세를 기록할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글로벌 공급망 차질, 미국발 금리 인상 우려 등은 하방리스크로 꼽았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1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2022년 세계경제 전망'을 발표했다.

KIEP는 지난 5월 전망 당시 예측했던 올해 성장률 5.9%를 변동 없이 유지했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1.3%포인트(p) 하락한 4.6%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전망한 4.5%보다는 높고,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4.9%)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KIEP는 내년 미국 등 주요국의 통화정책이 정상화 경로에 진입하는 동시에 투자자 위험회피도의 급격한 변화가 없다고 내다봤다.


김흥종 KIEP 원장은 "이번 경제전망은 내년에 모든 정책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정상화 속도에 따라 많은 출렁임이 있을 수 있어 판단하기 어려웠다"며 "분명한 것은 선진국은 확실하게 계속 회복 기조로 가면서 정상적인 잠재 성장률을 상회하는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은 민간부문 회복이 지속되겠으나 애초 계획보다 축소 통과된 인프라투자 법안 규모, 중간선거 등 정치일정에 따른 정책 지연 및 축소, 연방준비제도(Fed)의 테이퍼링 및 금리인상 우려 등 부정적 요인으로 내년 3.8% 성장하는 데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유로 지역과 영국은 민간부문의 자생력이 높아지면서 소비와 수출, 투자가 증가해 각각 연간 4.6%, 5.3%의 성장세를 보일 전망이다.

일본은 신성장 산업 관련 투자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지난 5월 전망치 1.1%보다 대폭 상향된 내년 3.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올해 성장률은 5월 전망치(3.0%)에서 0.6%p 하향조정한 2.4%로 예상했다. 도쿄올림픽 이후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회복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중국은 델타 변이 확산과 정부의 산업규제 강화 등으로 올해 5월 전망치(8.6%)보다 0.5%p 낮은 8.1% 경제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내년엔 기존 전망치(5.6%)에서 소폭 하향한 5.5% 성장을 내다봤다. 이승신 KIEP 중국경제실장은 "헝다그룹 문제가 중국 전반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진 않을 것"이라며 "헝다그룹의 자산과 부채를 봤을 때 자산규모가 여전히 커서 감당 못할 수준이 아니고, 정리된다 해도 시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KIEP는 내년 세계경제가 하반기로 갈수록 대전환 비용 부담과 정부 예산 제약, 녹색 전환에 따른 민간에서의 병목·지체 현상, 국제협력 지체와 국내 정치과정의 지연 등 주요 리스크 요인이 성장세를 둔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했다.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코로나19 위기로부터 상대적으로 빨리 회복하는 데 크게 기여했지만 위기의 정상화 시점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성급한 거둬들이기 혹은 구조 변화에 대한 소극적 대응은 경기 모멘텀을 훼손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재정 여력이 부족한 신흥국에서 더 큰 이슈가 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아울러 세계 곳곳에서 빚어지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이 세계경제 성장률을 끌어내릴 정도로 심각하진 않을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점쳤다.


내년도 평균유가는 WTI 기준 61.9달러로 올해 대비 소폭 낮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honestly82@fnnews.com 김현철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