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생활폐기물 근원적 감축 방안 제시
자체 매립지에 소량 소각재만 매립, 침출수·악취 미 발생
좋은 도시의 조건은 좋은 환경을 갖춘 도시
자체 매립지에 소량 소각재만 매립, 침출수·악취 미 발생
좋은 도시의 조건은 좋은 환경을 갖춘 도시
⑮ 종합 <끝>
【파이낸셜뉴스 인천=한갑수 기자】 인천 서구 주민들은 1992년 수도권매립지에 생활쓰레기를 비롯한 각종 폐기물이 매립되기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약 30년간을 악취 등으로 고통 받아왔다.
인천시가 역점사업으로 추진하는 자원순환정책의 대전환은 폐기물의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환경정의를 구현하고 악취 등으로 고통 받아온 지역 주민들을 구제하기 위해 시작됐다.
매립을 할 수밖에 없는 어떠한 이유를 댄다고 하더라도 ‘이제 더 이상 안 된다’는 것이 인천시의 판단이다. 게다가 수도권매립지 인근에는 조만간 70만명이 입주하는 2,3기 신도시까지 조성된다.
인천시는 오는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위한 준비작업으로 생활폐기물의 발생을 근원적으로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 방안 중 하나가 생활폐기물의 직매립 금지조치로 환경부는 인천시의 제안을 받아들여 오는 2026년부터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지역에서 생활폐기물의 수도권매립지 직매립을 금지했다.
시는 분리수거와 재활용 등을 통해 생활쓰레기를 최대한 감축하고 그래도 나오는 쓰레기는 소각하고 남은 소각재만 자체 매립지를 조성해 매립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지금처럼 대형 매립지가 아니라 소규모로도 처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소각재만 매립하고 친환경적 공법으로 자체 매립지를 조성하기 때문에 침출수가 나오지도 않고 악취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 시는 생활쓰레기 발생을 근원적으로 감축하기 위해 인천시청 청사를 비롯해 공공기관 등의 1회용품 제로화 사업을 실시하고 시민들의 동참을 독려하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공동주택 등에 음식물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RFID 종량기와 RFID 대형 감량기를 설치하고 폐기물별 전용봉투 보급, 자원관리사 운영, 재활용품 수거횟수 확대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인천시에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생활폐기물을 소각하고 음식물을 처리하는 시설인 청라자원환경센터와 송도자원환경센터가 있다.
청라·송도 자원순환센터에서 소각되는 생활폐기물은 하루 830t(2019년 기준, 인천 전체 생활폐기물 소각량의 90.8%)에 달한다. 생활폐기물은 850℃ 이상에서 소각하기 때문에 고온의 열이 발생하고 타고 남은 잔재물인 소각재가 20% 가량 발생한다.
환경이 미래다. 하늘이 미세먼지로 가득차고 공기와 물·땅이 오염된 미래는 암울할 수밖에 없다.
그렇기 때문에 좋은 도시의 조건으로 좋은 환경을 갖춘 도시를 꼽는다. 깨끗한 공기와 맑은 물, 환경오염의 원인인 생활하수, 공장폐수, 생활폐기물, 악취의 관리가 잘 되고 있는 도시이다.
환경은 한번 파괴되면 회복하는데 백 년 이상이 걸린다. 환경이 더 오염되고 파괴되기 전에, 기회가 남아 있을 때 환경을 살릴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인천시의 자원순환정책 대전환은 친환경 자원순환 체계로 환경을 살리는 것과 맞닿아 있다.
kapsoo@fnnews.com 한갑수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