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인프라법 통과·트위터 CFO 발언 등에 하락세
공포·탐욕 지수 낮아져…전문가들 상반된 전망
![[그래픽=뉴시스]](https://image.fnnews.com/resource/media/image/2021/11/17/202111171439408101_l.jpg)
[서울=뉴시스]이주혜 기자 = 비트코인이 지난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불안정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4년 만의 대형 업그레이드 '탭루트' 소프트포크 이후에도 반등세를 지속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연이은 부정적 이슈로 시장의 과도한 낙관주의가 사라졌다는 분석이 나오는 가운데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전망이 엇갈린다.
17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전날 비트코인은 6만달러 아래로 하락해 한때 5만8000달러대로 떨어졌다. 이후 반등해 6만달러대를 회복, 이날 오후 1시36분 기준 전일 대비 1.29% 하락한 6만598달러를 나타내고 있다.
일주일 전 6만8000달러를 돌파하며 7만달러를 바라보던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비트코인이 기록적인 고점에서 후퇴한 원인에 대해 시장에서는 암호화폐 과세가 포함된 미국 인프라 투자법 통과, 트위터 최고재무책임자(CFO)의 부정적 발언, 중국의 채굴 단속, 달러 강세 등이 거론되고 있다.
네드 시걸 트위터 CFO는 전날 월스트리트저널(WSJ)과의 인터뷰에서 "비트코인 같은 암호화폐 자산에 보유한 현금을 투자하는 것은 타당성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기업들이 암호화폐에 투자하지 않는 이유로 변동성을 언급하기도 했다.
코인데스크는 이러한 발언이 시장에 충격을 줬다며 인프라법 통과로 인한 암호화폐 과세 가능성과 달러 강세 등으로 위험이 커진 투자자들에 부정적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분석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15일(현지시간) 1조달러 규모의 인프라 법안에 서명했다. 해당 법안에는 암호화폐를 금융자산으로 인정하고 이에 대한 세금 신고를 의무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업계에서는 세금 납부의 의무를 지게 되는 '가상자산 브로커'에 대한 정의와 범위가 모호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헤지 목적의 투자자들이 암호화폐 대신 달러로 갈아탄 점도 암호화폐 약세를 이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채굴 단속도 비트코인 가격 하락 요인으로 거론된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전날 기자회견에서 중국 내 암호화폐 채굴 정리 작업을 계속할 것이라 밝혔다. 아울러 채굴 활동에 관여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주거용 전기요금 대신 징벌적 요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CNBC는 암호화폐에 대한 중국 당국의 부정적 견해는 새롭지 않은 논평임에도 불구하고 종종 암호화폐 매도를 초래한다고 전했다.
이에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자의 심리도 악화하고 있다. 암호화폐 데이터 조사 업체 얼터너티브(Alternative)에 따르면 암호화폐 시장의 투자심리를 알려주는 '공포·탐욕 지수'는 지난주 '극도로 탐욕적인' 수준에서 이번 주 '탐욕적인' 수준으로 낮아졌다. 코인데스크는 공포·탐욕 지수가 떨어지기 시작한 것은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서 극도의 낙관주의가 사라지기 시작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향후 비트코인 가격 흐름에 대한 전문가들의 견해는 엇갈린다. 나이젤 그린 드비어그룹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약 30년 만에 최고치로 오른 것을 인용하며 "암호화폐 가치가 최소한 내년 2분기까지 계속 급등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반면 에드워드 모야 오안다 수석 연구원은 "인플레이션 압력이 빠른 금리인상 조치를 촉발할 경우 암호화폐에 불이익을 줄 엄청난 위험 회피 물결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winjh@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