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일반경제

"2050년 해양수산 '탄소 네거티브' 간다…파력·조력으로 온실가스 229만t 감축"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1.12.16 14:00

수정 2021.12.16 14:00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뉴시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정부는 2050년 바다에서의 탄소배출량을 '넷제로(0)에서 더 나아가 -324만톤으로 설정했다. 화석연료를 파력, 조력 등 해양에너지로 대체하고 갯벌, 바다숲 등 블루카본을 활용해 탄소흡수원을 확충하는 계획이다.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은 2050년까지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선박으로 전환한다.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 및 감척,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을 확대한다.

해수부는 2050년 온실가스 배출 -324만톤을 목표로 '해양수산분야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다고 16일 밝혔다.


해수부는 지난 10월 수립된 국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의 원활한 이행을 위해 해양수산 분야의 탄소중립 정책 추진 방향을 제시했다.

우선 해양수산업 탄소배출량은 2018년 406.2만톤에서 2050년 42.2만톤으로 약 90%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해양수산업 중 해운분야에서는 디젤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을 단계적으로 저탄소·무탄소선박으로 전환해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30.7만톤(2018년 101.9만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저탄소(LNG, 하이브리드 등) 선박 기술을 고도화하고, 무탄소(수소, 암모니아) 선박 기술을 상용화하는 한편, 친환경 관공선과 친환경선박 대체건조 지원을 마중물로 민간 선사의 친환경선박 전환을 유도하기로 했다.

수산·어촌분야는 노후어선 교체 및 감척, 에너지 고효율 장비 보급 확대 및 재생에너지 확대로 2050년까지 탄소배출량을 11.5만톤(2018년 304.2만톤)까지 줄일 계획이다. 노후어선을 신조선으로 대체 건조하고, 기관을 새로 교체하는 등 연료 효율을 높이는 한편, 감척 대상을 선정할 때 온실가스를 많이 배출하는 어선을 중심으로 선정하는 등 어선어업분야 에너지 효율성 제고를 도모한다.

또한 액화천연가스(LNG), 전기 등을 연료로 하는 친환경어선 기술개발과 보급을 확대하고, 히트펌프, 인버터와 같은 에너지 고효율 장비를 양식장과 수산가공시설에 보급하는 등 수산업 전반을 친환경 체제로 전환한다.

파력, 조력 등을 활용한 해양에너지 부문의 2050년 목표 배출량은 -229.7만톤이다. 이를 위해 현재 운영 중인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증설가능성을 검증하고 신규 대상지를 발굴하기 위한 타당성조사를 추진하는 등 조력발전소를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조류발전, 파력발전 등 아직 상용화가 돼 있지 않은 해양에너지는 실증연구를 통해 상용화시킬 계획이다. 조류발전 시범단지 구축, 방파제 연계형 파력발전의 단계적 확산 등 대규모 실증프로그램이 예정돼 있다.

아울러 해양에너지·해양바이오 기술과 결합한 수소 생산 기술도 고도화한다. 파력과 풍력을 활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연안부터 시작해 외해까지 실증단지를 구축해 실증과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한, 해양미생물을 활용해 고순도의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해양바이오 기반 수소생산기술도 개발할 계획이다.

갯벌, 염생식물 등 해양의 탄소흡수원인 블루카본을 통해 2050년까지 136.2만톤의 탄소를 흡수할 계획이다. 블루카본의 흡수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갯벌 복원사업과 갯벌 식생복원사업으로 2050년까지 훼손된 갯벌 30㎢와 갯벌식생 660㎢를 복원하는 한편, 2030년까지 540㎢의 바다숲을 조성한다.

환경·탄소흡수 소재를 이용해 콘크리트 구조물 중심인 해안선을 복원하는 등 연안지역을 전면 재설계하는 ‘숨쉬는 해안뉴딜’도 2022년부터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항만 부문에서도 야드트랙터, 트랜스퍼 크레인 등 항만 하역장비의 엔진을 저공해 엔진으로 전환하고, 항만시설물의 에너지 효율을 제고하는 한편,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 활용을 확대해 2050년까지 탄소 중립항만을 구현한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기후변화와 탄소중립은 거스를 수 없는 거대한 흐름으로서 위기이자 기회"라며 "2050년이 멀게 느껴질 수 있지만 지금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해양수산분야의 탄소중립 정책에 최대한의 역량을 투입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imne@fnnews.com 홍예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