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정보통신

NFT 거래는 남의 일? 생활 곳곳서 퍼진다 [2022 신년기획]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1.02 16:39

수정 2022.01.02 17:49

V KOREA 디지털 시대, 미래기술이 온다
NFT 기반 디지털 소유권 없인
메타버스서 경제·여가활동 못해
네이버는 2억명 쓰는 '라인'으로
글로벌 NFT 생태계 확장중
카카오 공동체도 다양한 상품
디지털 자산화 통해 판매 예정
NFT 거래는 남의 일? 생활 곳곳서 퍼진다 [2022 신년기획]
2022년에는 인터넷과 게임 등 플랫폼 비즈니스 업계 'NFT 열전'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네이버 라인, 카카오, 엔씨소프트(엔씨) 등 업계 대표주자들이 NFT(대체불가능토큰) 생태계를 확장하면서다.

플랫폼 업계가 일제히 NFT에 뛰어든 이유는 PC(웹1.0)와 모바일(웹2.0)을 넘어 메타버스(3차원 가상세계)로 대표되는 웹3.0 시대를 선점하기 위해서다. 즉 국경과 온·오프라인을 초월한 메타버스 공간에서 경제 및 여가 활동을 할 때 필요한 게 NFT 기반 디지털 소유권이다.

NFT 시장 성장세도 뚜렷하다.
미래에셋증권이 재인용한 NFT 조사기관 논펀저블에 따르면 NFT 시장 규모는 2021년 1·4분기 20억달러(약 2조3000억원)에서 3·4분기 기준으로 100억달러(약 11조8700억원)를 넘어선 것으로 추정된다.

■네이버 라인, NFT 마켓 출시 예정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관계사 라인은 올해 초 일본에서 NFT 마켓인 '라인 NFT'를 정식 출시한다.

현재 베타버전은 블록체인서비스 개발플랫폼 '라인 블록체인 디벨로퍼스'와 일본 '라인 비트맥스 월렛'에서 운영하고 있다. 이미 지식재산권(IP), 콘텐츠, 게임 등 글로벌 파트너사들이 라인 블록체인 기반으로 누적 130만개 이상 NFT를 발행,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라인은 전 세계 월간실사용자수(MAU)가 약 2억명에 달하는 모바일 메신저 '라인(LINE)' 기반으로 NFT 생태계를 확장한다는 점에서 업계 기대가 높다. 라인이 최근 한국과 미국에 각각 라인넥스트를 설립한 이유도 글로벌 NFT 생태계 구축이다. 각국 기업과 크리에이터들이 NFT 마켓과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들이 NFT를 거래하거나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카카오 공동체, NFT 확장 총력전

카카오 공동체도 NFT 생태계 선점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카카오게임즈는 프렌즈게임즈를 통해 NFT 거래소를 개발하고 있다. 이 거래소에서는 골프 티타임 예약권, 게임아이템, 아이돌 팬아트 등이 디지털 자산화돼 판매될 예정이다.

카카오 블록체인 계열사 그라운드X도 가상자산 지갑 '클립(Klip)'에서 한정판 디지털 작품을 전시하고 유통하는 '클립 드롭스'를 운영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용자들이 디지털 아트를 사고팔고 다양한 NFT를 수집할 수 있는 신규 기능을 공식 반영했다.

특히 NFT 핵심은 커뮤니티 경쟁력 확보라는 점에서 카카오 공동체 시너지가 주목된다.

NXC(넥슨 지주사)와 SK스퀘어가 각각 1, 2대 주주인 가상자산거래소 코빗이 독점 번역·발간한 메사리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는 △NFT 거래소 △크리에이터 도구 △커뮤니티 중심 비즈니스모델(BM) 등이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MMORPG 게임은 NFT 적용 적합

게임업계도 위메이드를 필두로 NFT 경쟁이 뜨겁다. 위메이드는 자사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미르4 글로벌' 버전 캐릭터에 NFT 기능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게임 이용자들은 각자 키운 게임 캐릭터 소유권을 인정받고 고유한 자산임을 증명할 수 있게 됐다.
또 '위믹스 월렛' 내 NFT 마켓에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엔씨 역시 슈퍼 IP 기반 MMORPG 아이템을 토큰화한 뒤 고유가치를 지닌 NFT로 활용토록 하는 서비스를 선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에셋증권은 '2022 테마 리포트'를 통해 "게임 내 경제 생태계를 장기간 운영해온 엔씨와 위메이드 등이 선보이는 블록체인 게임의 핵심적인 차이점은 NFT를 기반으로 한 P2E(Play to Earn, 게임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형식"이라며 "게임 내 재화가치를 일정 범위 내에서 안정적으로 유지해야 이용자 이탈을 막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