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까지 공사 멈춘 건설사 이어
철강·중공업·車 등 제조업도 비상
안전·보건 전문인력도 대거 확충
철강·중공업·車 등 제조업도 비상
안전·보건 전문인력도 대거 확충
■제조업 '안전사고 막아라'
26일 산업계에 따르면 재해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건설업계를 비롯해 제조업 기업들에 초비상이 걸렸다.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으로 산업 현장에서 근로자가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면 사업주,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경영책임자가 1년 이상 징역형에 처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주요 건설사들은 1호 처벌 사례를 피하기 위해 아예 설 연휴까지 공사를 중단하기로 했다.
포스코도 안전부문 조직체계를 확대 개편하고 철강부문장인 김학동 부회장 산하에 안전환경본부 조직을 마련했다. 또 최근 조직개편에서는 산업보건 관리조직을 새로 만들었다. 산하에 3개의 실단위 조직이 있는데, 이 중 안전과 보건기획실은 포항과 광양제철소를 중심으로 그룹 차원의 안전보건 체계 및 제도의 혁신을 전담 수행한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안전관리를 위해 사업부급 안전보건총괄 부서를 신설했다. 산하 조직인 안전보건경영담당은 안동일 사장이 직접 챙긴다. 동국제강은 CEO 직속으로 동반협력실을 신설하고, 전사안전총괄조직으로 안전환경기획팀을 꾸렸다. 이후 공채 등을 통해 안전환경 전문인력도 충원했다.
현대중공업은 기존 안전부문장이었던 최헌 전무를 최고안전책임자(CSO)로 선임하고 안전 관련 인력을 20% 증원했다. 삼성중공업도 최근 CSO를 신설하고 조선소장인 윤종현 부사장을 선임해 안전에 대한 모든 예산과 정책을 총괄하도록 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조선소장인 박두선 부사장을 CSO로 선임하고 건강·안전·환경(HSE) 추진담당을 경영실로 격상했다. 아울러 사안에 따라 현재는 조선소장까지 보고하도록 돼 있는 안전업무 보고체계를 CEO까지로 상향한다. 해운업체 HMM은 올해 초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임직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하기 위한 산업안전관련 조직인 안전보건관리팀을 꾸렸다.
■안전 컨트롤타워 신설
현대차는 기존에 없던 CSO직을 새로 만들고 국내생산담당 임원인 이동석 부사장을 선임했다. 이 부사장은 대표이사는 아니지만 지난해 말 하언태 전 사장이 퇴임한 이후 울산·아산·전주공장 등 국내공장 운영을 총괄하고 있는 만큼 안전관리를 책임지는 CSO로 낙점했다는 설명이다. 기아도 최근 CSO직을 새로 만들었다. 다만 현대차가 생산부문 임원을 CSO로 선임한 것과 달리 기아는 급을 높여 최준영 대표이사 부사장이 맡기로 했다.
LG전자는 지난해 8월 최고위기관리책임자(CRO)직을 만들고, 산하 조직인 안전환경담당을 안전환경그룹으로 격상했다. 안전환경 보건방침도 새로 만들었다. LG디스플레이도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 대한 안전환경 정책수립 및 점검과 관리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최고안전환경책임자(CSEO)직을 만들었다. 안전환경 위험 감지 시 생산중단을 지시할 수 있는 CEO 수준의 권한을 갖고 있다.
SK하이닉스는 안전개발제조총괄을 신설했다. 기존 개발제조총괄 조직명 앞에 안전을 추가하고, 곽노정 사장을 임명했다. 삼성전자는 최고재무책임자(CFO)가 CRO를 겸직하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또 매월 협력사 CEO와 간담회를 열어 환경안전법규 동향 등을 공유하고 있다.
cjk@fnnews.com 최종근 김영권 장민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