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 자동차부품업체 '핵심인력·기술 유출 공방' 격화 조짐

노주섭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2.22 11:42

수정 2022.02.22 11:45

[파이낸셜뉴스] 부산을 대표하는 자동차부품기업들이 미래 자동차 핵심인력과 기술 유출을 둘러싼 공방을 벌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하이브리드와 전기차 등 친환경 자동차용 모터 등을 개발, 생산하고 있는 부산지역 최대 자동차부품기업 SNT모티브는 지난 21일 공식 입장문을 통해 "경남 양산에 있는 경쟁업체인 A사의 자회사가 미래 자동차 핵심인력과 기술을 빼갔다"며 "법정 대응도 불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이 회사가 배포한 입장문에 따르면 친환경 자동차 모터사업을 활발히 진행하던 지난 2012년 2월 경남 양산시에 공장을 둔 디젤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A사 회장 아들 B모씨가 기술연구소 모터개발팀에 병역특례로 입사했다는 것이다.

당시 B씨의 근무 희망지는 모터개발팀이었으며, 3년 후인 2015년 3월 병역특례를 마치고 바로 퇴사했다.

이후 2017년부터 SNT모티브 모터개발 등 자동차부품 관련 연구원들의 이직이 급증했다는 것이다.

2017년 3명을 시작으로 2018년 5명, 2020년 이후 현재까지 12명 등 총 20여명의 모터개발팀 팀장과 자동차부품 관련 연구원, 엔지니어들이 코렌스로 대거 이직했다는 주장이다.

A사는 전기차 모터 관련 사업을 위해 자회사를 세우고 이들을 이동시켰다는 것이다.

A사 회장의 아들 B씨는 현재 전기차 모터 관련 사업을 위해 만들어진 자회사 대표이사를 맡고 있다.


SNT모티브 모터개발팀장은 현재 A사의 자회사 공동 대표이사를 맡고 있고, 모터개발팀 과장은 상무, 품질팀장은 상무로 재직 중이라는 것이다.

SNT모티브 측은 자동차부품을 개발, 생산하는 동종업계에서 특정 개발팀 상당수 직원을 조직적, 지속적으로 회유하고, 그들이 기술 자료들을 빼오는 것을 방관한 것은 상도(商道)에 어긋나며, 기업의 심각한 도덕적 해이라고 주장했다.

SNT모티브 측은 "현재 이 내용에 대해 법률 검토를 진행하고 있으며, 법적대응을 비롯한 적극적인 대책들을 준비하고 있다"는 내용도 밝혔다.

이에 A사 측은 22일 "핵심인력과 기술을 빼갔다는 SNT모티브 주장은 악의적인 비방"이라는 취지의 반박문을 발표하고 나서 두 회사간 공방이 격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A사 측은 보유한 전기 구동모터 기술의 경우 헤어핀 기반의 자석을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국내에서 완성차 업체를 제외하고 자신들만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SNT모티브 측이 무엇을 근거로 자신들이 보유하고 있지도 않은 기술을 유출했다고 주장하는 것인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다"고 덧붙였다. 올해 양산 계획 중인 사업 또한 고객사 도면을 바탕으로 위탁 생산하는 것으로 SNT모티브 기술과는 더욱 무관하다고 했다.

A사는 "SNT모티브에서 복호화 내역을 기술유출 근거로 들고 있는 것에 대해 암호화 프로그램이 설치된 PC에서 작성된 문서 등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되지 않은 PC에서는 확인(실행)이 불가하다"며 "이에 통상 고객사, 협력사 등에게 해당 문서 등을 보내기 위해서는 암호해제 사유, 수신처 등을 시스템에 등록해 상급자의 승인을 얻은 후 해당 프로그램이 설치된 회사 내부의 PC에서 복호화 작업을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복호화를 했다는 것은 단순히 특정 개인이 어떠한 사유(고객사, 협력사 제공 등)로 암호를 풀었다는 것을 의미할 뿐 그 자체만으로 비밀정보 유출과 관련이 없다고 반박했다.

A사 측은 "일련의 SNT모티브 직원들의 퇴사가 회장 아들과 관련 있는 것처럼 오인되도록 주장하고 있지만 아무런 관련이 없다"면서 "회장 아들이 병역특례를 마친 시점이 2015년 3월, SNT모티브 출신이 최초로 당사에 입사한 시점은 2017년 9월로 약 2년 6개월의 시간적 공백이 있다"고 밝혔다.

한편 SNT모티브는 이날 A사 측의 반박 입장을 재반박하는 자료를 내놓는 등 두 회사간 격화되는 공방이 당분간 이어질 조짐이다.


SNT모티브 측이 재반박한 자료에는 해당 직원이 암호를 푼 시기가 퇴사 직전이라는 점과 푼 시간대가 다른 직원이 없는 점심시간, 근무가 종료된 저녁시간이라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내용 등이 담겼다.

roh12340@fnnews.com 노주섭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