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제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
市, 의료·복지 등 대응방안 구축
각 실·본부·국별 주1회 점검회의
市, 의료·복지 등 대응방안 구축
각 실·본부·국별 주1회 점검회의
한제현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사진)은 "지난 12월 이후 전 연령에서 중증화율과 치명률이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전자증폭(PCR)검사 및 신속항원검사 결과 양성건수 및 양성률은 모두 큰 폭으로 증가추세를 보여 당분간 위험상황이 지속될 수 있다"며 "코로나19 발생동향이 감소세로 전환되기 전까지는 선제적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 실장은 "최근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세를 보임에 따라 서울시 공무원 중에서도 확진자가 발생하고 있다"며 "공무원이 확진되어 자리를 비우게 되더라도 필수 공공서비스가 지속 유지될 수 있도록 고심한 결과의 산물이 바로 서울시 업무연속성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업무연속성계획은 지난 1995년 미국에서 'BCP(Business Continuity Plan)' 또는 'COOP(Continuity of Operation Plan)'라는 이름으로 처음 도입됐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1년 강원지역 폭설과 여수발전소 정전사태를 계기로 도입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서울시 차원에서 업무연속성계획이 도입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요 내용을 보면 감염병 대응 및 복지 분야의 경우 '보건·의료', '복지' 등 2개 기능으로 구성되며 검체검사, 선별진료소 운영, 취약계층 및 어르신 보호 대책, 긴급보육 및 돌봄지원 등 39개의 핵심업무로 이뤄져 있다. 또 도시인프라 유지 분야는 '재난관리', '도로', '교통', '상·하수', '치수', '폐기물' 등 6개 기능으로 구성되며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 도로 및 도로시설물 유지관리, 대중교통 운영·관리, 수돗물 생산·공급, 한강 유량조절, 음식물 및 재활용 폐기물 처리 등 26개의 핵심 업무로 포함됐다.
한 실장은 "시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도와 복구의 시급성, 도시기능의 연속성 등을 고려해 서울시의 필수 공공서비스를 선정했다"며 "핵심 업무를 수행하는 필수인력의 감염 및 격리 비율에 따라 비상단계를 설정하고 단계별 대응 방안을 구축했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업무연속성계획이 현장에서 잘 작동될 수 있도록 각 실·본부·국별로 기관장이 주재하는 점검회의를 주 1회 개최하도록 했다"며 "직원 건강 상황 모니터링과 청사방역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아울러 한 실장은 업무연속성계획에 따라 투입되는 대체 인력의 전문성도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긴급한 상황에 투입되는 대체 인력의 전문성이 떨어지게 되면 또 다른 안전 문제가 발생하고 2차 피해가 우려된다"며 "업무연속성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적합한 사람이 대체 인력으로 투입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coddy@fnnews.com 예병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