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자율주행차 시범운영 참여 美·中은 1000대… 한국은 30대"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3.15 18:01

수정 2022.03.15 18:01

자동차산업연합회 발전 포럼
"자율주행차 경쟁력 확보 위한
시범운행지구 확대 등 지원 필요"
미국, 중국 등 자율주행 자동차 기술 선도국들이 재정·정책 지원 등으로 자율주행 상용화에 근접한 반면,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정부가 자율주행차 경쟁력 제고를 위해 적극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만기 자동차산업연합회(KAIA) 회장은 15일 온라인으로 진행된 제24회 자동차산업발전포럼에서 "미국과 중국의 경우 1000대이상의 자율주행차가 시범서비스에 참여해 돌발상황 등 다양한 환경 속에서 대규모 실증 데이터 확보를 통한 기술 고도화를 추진해가고 있다"면서 "반면 국내 자율주행 시범서비스는 7개 지역 일부 구간에서만 그것도 정형화된 노선에 총 30여대 시범서비스 차량이 투입함으로써 미국이나 중국 등 선도국가 대비 데이터 축적과 기술개발이 매우 취약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어 "전기차, 수소차 등에 비해 자율주행차에 대한 정부 관심과 지원이 떨어지면서 자율주행 시범서비스 등을 통한 우리 기업들의 상용화 수준은 해외 주요업체 대비 많이 뒤처져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규제 완화와 대규모 실증단지 지정 등을 통해 기업들이 자율주행차 관련 기술성과 사업성 테스트를 마음껏 자유롭게 시행하도록 하는 환경조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임원택 에이스랩 대표이사는 "자율주행 혁신 기술은 미국의 웨이모, 크루즈, 테슬라, 유럽의 독일3사, 중국의 바이두 등 민간 업체 주도로 기술개발 경쟁이 진행되고 있다"면서 "해당 업체의 기술 주도를 위해 주요국은 충분한 정책적 지원을 시행중"이라고 했다. 그는 "국내는 2027년 완전 자율주행 상용화 목표로 장기적 관점에서 대응하고 있지만, 주요국과 비교하면 투자금과 전문인력이 선도국 대비 절대적 열세에 있다"며 "해외 주요 업체와 유사한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의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조창성 자동차산업협회 스마트안전실 실장은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를 위한 필요한 데이터 축적에 뒤처지고 있다"며 "대규모의 데이터 확보를 위해 현재 지역적으로 떨어져 운영되고 있는 시범운행지구를 대도시 전체 대상으로 하거나 지역 3개 이상을 하나의 구역으로 묶어 대규모 자율주행 시범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cjk@fnnews.com 최종근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