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거세지는 선관위원장 거취 요구...노정희 "더 잘하겠다" 일축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3.17 15:43

수정 2022.03.17 15:43

김세환 선관위 사무총장 면직안 통과...노정희 위원장 거취 논란 장기화 예고
[과천=뉴시스] 조성우 기자 =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선관위원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2.03.17. xconfind@newsis.com /사진=뉴시스
[과천=뉴시스] 조성우 기자 =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이 17일 오전 경기도 과천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열린 선관위원 전체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2.03.17. xconfind@newsis.com /사진=뉴시스
김세환 사무총장이 17일 오전 경기 과천시 중앙선관위에서 열린 ‘중앙선관위 운영회의’를 앞두고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실 앞을 지나가고 있다. 이날 열린 운영회의에서는 김 사무총장의 면직 건 처리를 논의할 예정이다. 2022.3.1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사진=뉴스1
김세환 사무총장이 17일 오전 경기 과천시 중앙선관위에서 열린 ‘중앙선관위 운영회의’를 앞두고 노정희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실 앞을 지나가고 있다. 이날 열린 운영회의에서는 김 사무총장의 면직 건 처리를 논의할 예정이다. 2022.3.17/뉴스1 © News1 황기선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17일 전체 회의를 열어 사전투표 부실 관리 등 이른바 '소쿠리 투표'사태 책임 및 아들 특혜 의혹이 불거진 김세환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면직안을 처리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은 물론 선관위 내부에서도 사퇴 요구를 받고 있는 노정희 선관위원장은 이날도 사퇴 의사가 없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져 당분간 거취 논란을 두고 진통이 이어질 전망이다.

선관위는 이날 오전 경기 과천 선관위 청사에서 노정희 위원장 주재로 회의를 열고 김 총장 면직안을 처리했으나 후임 사무총장 인선안은 다루지 않았다.

사무총장은 내부 발탁을 거쳐 선관위위원들이 임명한다.

김 사무총장은 아들 김모씨가 강화군청에서 인천시 선관위로 이직한 배경 및 승진, 출장 과정의 특혜 의혹이 불거진 상태다.
또 사전투표 부실관리로 사퇴 요구도 받아왔다.

김 총장은 전날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이번 대선에서 발생한 확진자 등 사전투표 부실관리 사태와 관련해 그 책임을 통감하고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며 "모든 책임을 지고 사무총장직에서 물러나고자 한다"고 사의를 표명했다.

이런 가운데 노 위원장은 이날도 선관위 출근길에 거취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았다.

다만 선관위 관계자들에 따르면 노 위원장이 내부 인사들에게 "위원장으로서 책임감을 느끼며 앞으로 더 선거 관리를 잘하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놓고 사퇴를 사실상 거부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전국 시·도 선관위와 중앙선관위 소속 상임위원 15명은 전날 '상임위원단 건의문'을 통해 "대내적인 조직안정과 지방선거의 성공적 관리를 위해 대선 관리부실 책임이 있는 간부의 즉각적인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며 사실상 노정희 위원정을 겨냥했다.

이번 사전 투표가 코로나19 확진자 폭증이 예고됐음에도 미흡한 예측과 탁상행정으로 지난 5일 확진·격리자 사전투표가 관리 부실이 드러났다. 확진자 투표 용지가 기표함이 아닌 박스와 쇼핑백으로 옮겨지고 일부 유권자들은 투표를 못하고 돌아가는 등 참정권 침해 논란도 거세진 바 있다. 이에 선관위 주요 책임자들에 대한 엄중한 처벌 및 조직의 총체적 개편 요구가 거센 상황이다.

선관위는 선관위 위원 결원 사태까지 겹치면서 당장 6.1 지방선거 관리도 비상등이 켜졌다.

중앙선관위원은 대통령 임명 3명, 국회 선출 3명, 대법원장 지명 3명 등 모두 9명으로 구성되나 현재 '7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조해주 전 선관위 상임위원이 지난 1월 임기 문제로 논란끝에 사퇴한 뒤 청와대가 후임 인선을 하지 않은 상태다.

여기에 국민의힘 추천 몫인 문상부 선관위원 후보자도 후보자직에서 사퇴했다.


이같은 사정에 전국단위 대형 선거인 6월 지방선거에서 다시 관리 부실이나 중립성 보장 등이 이뤄질 수 있을지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는 상황이다.

cerju@fnnews.com 심형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