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브레이크웨이브 드라이 벌크 시핑(티커 BDRY)’은 러시아 침공이 단행된 지난달 24일(현지시간)부터 지난 18일까지 16.48% 수익률을 기록했다. 이 상품은 건화물선 운임지수(BDI)를 추종하며 운용자산(AUM)은 6900만달러(약 838억원)에 달한다. 글로벌 해운사에 투자하는 ‘소닉셰어스 글로벌 시핑(티커 BOAT)’도 같은 기간 11.38%의 성과를 냈다.
미국 철도 운용사인 유니온 퍼시픽 코퍼레이션(20.52%)을 가장 많이 편입하고 있는 ‘아이셰어스 운송 평균(IYT)’도 5.63% 수익률을 달성했고, 해상·철도·트럭 운송회사 등 종목을 나눠 담고 있는 ‘SPDR S&P 운송(XTN)’과 ‘퍼스트 트러스트 나스닥 운송(FTXR)’ 역시 각각 4.86%, 3.95%의 성과를 냈다.
국내 증시에 상장된 삼성자산운용의 ‘KODEX 운송‘ 역시 지난달 25일부터 지난 21일까지 7.20%의 수익률을 나타내고 있다.
지정학적 리스크가 장기화되며 해상에 이어 항공 운송로까지 막힘에 따라 물류차질이 빚어진 영향이 크다.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국제유가에 따라 상향 조정된 운임비가 주가를 띄웠다.
실제 철광석·석탄·곡물 등 원자재를 실어 나르는 벌크선 운임 동향을 나타내는 BDI는 지난달 24일 2187.0에서 약 한달 만인 17일 18% 넘게 오른 2588.0을 가리키고 있다. 러시아산 대신 브라질산 철광석, 인도네시아산 석탄 등 원자재 수요가 급증한 데 따른 현상으로 풀이된다.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는 지난 1월 7일 5109.6포인트로 정점을 달성한 이후 9주 연속 하락세지만, 코로나19 이전 대비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곧 반등할 것이란 분석에 힘이 실린다. 미국 서부해안 물류적체는 해소되고 있으나, 유럽 등 여타 지역으로 그 여파가 번지는 모양새인데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협상도 변수로 자리 잡고 있어서다.
지난 14일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확산 억제를 위해 세계 4위 항만을 보유한 선전시를 봉쇄한 점도, 그 시기가 성수기 진입 시점과 맞물리면서 적체 현상을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엄경아 신영증권 연구원은 “미국 로스앨젤레스(LA), 롱비치에서 적체량이 줄어드는 반면 뉴욕, 뉴저지 등 동부와 유럽 항만에서 적체 상태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증가하고 있다”며 “전 세계 컨테이너 항만의 소화력 문제로 해석될 수 있어 고운임 장기화 가능성이 점쳐진다”고 설명했다.
최고운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지정학적 리스크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대외변수 영향을 가격에 전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운주 비중 확대가 유리할 것”이라며 “지난해 물류 및 에너지 대란 연장선에서 최근 침공 사태 수혜가 예상되고, 수요보다 공급을 더욱 위축시키는 현 환경에서는 운임 상승이 점쳐진다”고 설명했다.
다만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현재 진행 중인 터라 향후 운임비 방향성은 안갯속”이라고 짚었다.
taeil0808@fnnews.com 김태일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