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측 "수석 대신 보좌관 명칭 검토"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실장 12수석' 체제인 현행 청와대 조직에서 정책실장직을 폐지하고, 일자리수석비서관과 민정수석비서관을 없애기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5일 드러났다. 유지되는 수석비서관의 경우 '보좌관'으로 명칭을 바꾸는 것을 검토 중이다. 대통령 집무실 이전, 특별감찰관 부활, 민정수석실 및 제2부속실 폐지에 이은 이른바 '대통령 권한 내려놓기' 개혁 방안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동아일보 6일 단독보도에 따르면, 윤 당선인 측 핵심 관계자는 "(대선 공약대로) 수석비서관 직책을 완전히 폐지하기보다는 일자리수석과 민정수석 두 자리를 없애는 방향으로 개편안을 마련하고 있다"면서 "나머지 수석들에 대해선 명칭을 권위적인 '수석' 대신 참모 성격의 '보좌관'으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현 청와대 정책실장을 없애기로 했다"고 말했다.
현행 문재인 정부 청와대는 유영민 대통령비서실장 산하에 정무·국민소통·민정·시민사회·인사 등 5명, 이호승 정책실장 산하에 일자리·경제·사회 3명 등, 모두 8명의 수석비서관을 두고 있다. 이 가운데 정무와 홍보(국민소통) 수석비서관은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국가안보실이 담당한 안보 보좌 기능도 대통령실에 남는 방안이 확정적이다. 현재 서훈 국가안보실장 산하엔 사실상 수석비서관급인 서주석 1차장(NSC 사무처장), 김형진 2차장이 있다.

정부조직을 개편하려면 국회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통과돼야 하지만 대통령실 개편안은 윤 당선인의 취임 즉시 적용할 수 있다.

민정수석의 경우 윤 당선인이 대선 후보 시절부터 "대통령실 업무에서 사정, 정보조사 기능을 철저히 배제하겠다"고 밝히면서 일찌감치 폐지가 결정됐다.
rejune1112@fnnews.com 김준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