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르포]"사라진 꿀벌, 벌통엔 여왕벌만"…양봉업자 망연자실

뉴스1

입력 2022.04.08 11:42

수정 2022.04.08 11:49

지난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했다. 2022.4.7/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지난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했다. 2022.4.7/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해 4천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2022.4.7/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서 한 양봉업자가 벌통에서 소비 한장을 꺼내 들고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해 4천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2022.4.7/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 벌통이 놓여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해 4천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2022.4.7/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에 벌통이 놓여 있다. 해당 농장에서는 130통에서 사는 꿀벌이 집단폐사해 4천여만 원의 재산피해가 났다. 2022.4.7/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광주=뉴스1) 정다움 기자 = "꿀벌이 돌아오덜 않어. 텅 빈 꿀통에는 여왕벌 홀로 집 지키고 있당께."

지난 7일 오후 광주 서구 서창동 한 양봉장. 양봉장이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벌이 없었다.

예년과는 다르게 꿀벌 수만여 마리가 사라지자 벌들의 날갯짓 소리는 들리지 않아 고요하기만 했다.

150군 가운데 130군 벌통은 텅텅 비어있었고, 그나마 남아있던 20군마저 꿀벌 개체수가 줄어들자 꿀의 점성이 약해지며 상품성이 떨어진 모습이었다.

일부 벌통에는 여왕벌만이 홀로 남아 집을 지키며 집을 나간 꿀벌들을 애처로이 기다리는 듯했다.

양봉업자 문기주씨(74)는 올해 초장부터 양봉업이 망했다며 울상을 지었다.


문씨는 "벌통 1군에 통상 꿀벌 2만마리에서 2만5000마리까지 산다"며 "130군의 벌이 사라진 것이니 최대 32만마리가 죽은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봄에는 꿀벌 개체수가 증가하는 시기인데 올해는 되레 집단으로 줄어들고 있다"며 "벌통 앞에 꿀벌 사체도 없으니 어디서 죽은 건지, 생사도 모른다"고 하소연했다.

통상 벌통 1군에는 6개에서 8개까지 소비가 들어간다. 소비 한개당 3000마리 꿀벌이 생활하며 개화기인 4월말부터 6월말까지가 꿀벌들의 활동기다.

하지만 작년말부터 개체수가 점차 줄어들더니 지난 겨울 본격적으로 꿀벌들이 사라지기 시작했고, 원인조차 몰라 답답하다고 문씨는 전했다.

문씨는 "꿀벌 집단폐사는 광주뿐만 아니라 전국에서 발생하는 일"이라면서 "나라에서 양봉업자들에게 한푼 두푼 지원해주길 바라는 마음뿐"이라고 토로했다.

또 다른 양봉업자 김모씨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씨는 "전국의 꿀벌이 사라지는데 꿀벌 구매 비용을 지급한다고 꿀벌을 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며 "폐사 원인이 바이러스인지 응해인지, 지구온난화로 인한 면역력 저하인지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양봉등록제에 따라 광주에서 사육하는 군수는 121농가 1만5832군이다.

이 가운데 94농가 6162군이 피해를 입어 18억4860만원의 재산피해가 난 것으로 집계됐다.


광주시는 5개 자치구와 협의를 거쳐 1군당 30만원의 피해 보상금을 지원할 예정이다.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