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3명 중 1명 확진
또다른 변이 주시해야
또다른 변이 주시해야
입원치료 없이 자택에 머무는 재택치료자 수도 122만763명에 이른다. 누적 사망자는 1만9421명이고, 누적 치명률은 0.13%를 기록했다. 지난주 다수의 국내 대학연구팀이 공통적으로 유행 감소를 전망하면서 2∼3주 내 10만명대 초반까지 확진자가 줄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이번주 중 방역·의료체계를 일상으로 전환하는 '포스트 오미크론' 대응체계를 내놓을 방침이다. 현행 거리두기 체계가 종료되는 17일 이전에 공식화할 전망이다. 포스트 오미크론 체계에는 지난 2년여간 비상상황에 맞춰 가동됐던 방역·의료체계를 다시 일상체계로 되돌리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이 담긴다.
실내 마스크 착용 등 일부 조치를 제외한 전폭적 완화 방안에 대한 기대감이 일고 있다. 확진자의 격리 의무 자체가 아예 없어지는 등 코로나를 풍토병처럼 관리하는 '엔데믹 시대'에 맞춘 방역수칙이 제시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에볼라바이러스, 페스트, 탄저병 등과 같이 1등급인 코로나19 감염병 등급을 결핵, 수두, 홍역과 같은 2급으로 이달 중 내릴 방침이다. 추후 독감과 같은 4급까지 낮아질 수 있다. 그러면 지금처럼 매일 확진자 수를 집계해 발표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신종 변이 출현이 일상회복의 발목을 또 잡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근 대만, 태국, 영국 등에서 오미크론 BA.1과 BA.2의 재조합 변이(XE)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XE 변이는 BA.2 변이보다도 전파력이 더 강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미 여러 차례 재유행을 전망했던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장은 올가을 미국에서 코로나 재확산을 경고한 상태이다.
정부는 신종 변이가 출현하면 거리두기 조치를 복원하는 등 비상체계를 재가동할 방침이지만 전문가들은 처음부터 아예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방역조치 전면 해제에 앞서 의료체계 전반을 더 꼼꼼히 챙겨야 한다는 조언이다. 지난해 11월 일상회복에 급급해 단계적 회복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과오를 되풀이해선 안될 일이다. 경계를 늦춰선 안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