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약 20년 뒤인 2040년엔 북한의 핵탄두 보유 수량을 현재 대비 최대 2배에 이를 수 있단 전망이 나왔다.
조남훈 한국국방연구원(KIDA) 미래전략연구위원장은 1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디펜스2040: 도전과 청사진' 주제 콘퍼런스에 참석, 북한이 Δ플루토늄(PU) 전량을 핵분열탄 제조에 사용하고, Δ고농축우라늄(HEU)는 50%씩 핵분열탄과 수소폭탄 제조에 사용한다는 가정 아래 이 같은 분석을 제시했다.
조 위원장은 또 북한군이 우리 군 기지를 핵무기로 공격할 경우 "상당한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며 "무기·시설이 밀집돼 있는 해·공군부대는 지휘통신도 제한될 것"으로 예상했다.
조 위원장은 "(북한의 핵공격시) 육군부대의 피해 규모는 해·공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겠지만, 폭발 이후 방사능 낙진으로 인한 작전 지속이 제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 위원장은 우리 군의 북핵 대응 방안으론 '확장된 핵·대량살상무기(WMD) 대응체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현재의 '핵·WMD 대응체계'는 Δ킬체인과 Δ한국형 미사일방어체계(KAMD) Δ대량응징보복(KMPR)을 '3축'으로 구성돼 있다.
조 위원장은 이에 더해 발사 이전 단계에서 갱도를 붕괴하고 미사일 상승 단계에선 유도장치를 파괴하는 사이버 공격, 한국형 우주항법체계 및 우주기반 조기경보체계 확보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찬우 KIDA 미래전략연구위 부위원장은 이날 콘퍼런스에서 "재래식 대북 위협 감소와 핵·WMD 위협의 상대적 확대를 고려해 (우리 군의) 부대 구조를 설계해야 한다"며 "전략 작전 전담 부대 창설이나 기존 부대 개편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박 부위원장은 "기존 병력 중심의 부대 구조는 더 이상 발전하기가 어려우므로 병력 구조는 각 군의 작전적 소요와 병력 공급의 합리적 수준을 인공지능(AI) 과학기술 등을 적용해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