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체감 실업률이 높은 청년층을 상대로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새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된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청년소통TF(단장 장예찬)는 13일 부산청년센터과 박태준만화회사를 찾아 이틀간 현장간담회를 진행하고, 지방 일자리 창출과 콘텐츠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 기업 육성을 중심으로 청년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고 밝혔다.
장 단장은 “대한민국 리모델링의 핵심은 ‘지방 경쟁력 강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다. 지방에 좋은 일자리가 많아지면 집값, 교육, 의료 등 지역 간 격차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며 “지방 청년들이 일자리 때문에 고향을 떠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이 청년 일자리 정책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우선 지방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 신기술 산업과 연관한 현장 경험 기회를 확대할 방침이다. 소프트웨어(SW)산업의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해 전국 각 대학의 취업센터와 연계되는 ‘청년도약 디지털 베이스캠프’를 추진한다.
공간제약 없이 어디서든 일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게 핵심이다.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도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시킨다는 구상이다. 고용노동부 청년고용응원프로젝트를 확대해 기업과 지방 청년이 쉽게 매칭될 수 있는 ‘신기술 경험 플랫폼'을 구축해 지방 청년의 현장 경험 참여 기회를 늘릴 계획이다.
중기부의 ‘컴업(COMEUP) 2022’ 등 취업 및 스타트업 관련 박람회의 지방 개최도 추진한다. 지역 스타트업도 대기업과 협업하고, 성공한 선배 창업자 및 투자사와 네트워크를 쌓도록 지원한다.
콘텐츠IP산업 육성에도 나선다.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는 K 웹툰 뿐 아니라 음악, 영상 등 콘텐츠 분야 전반의 ‘불법 다운로드 차단 패스트트랙(가칭)’을 시행한다. 이를 통해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와 해외 판권 판매 지원을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다만 ‘정부주도형’의 획일적인 콘텐츠 인력 양성은 탈피한다는 방침이다. ‘기업주도형’의 맞춤형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기업이 원하는 인재를 스스로 키우고 채용하는 시스템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특히 창작자 보호를 위한 플랫폼 등 대기업과 창작자의 공정한 생태계를 조성한다.
인수위 측은 "수도권 집중 및 지역 불균형이 누적돼 비수도권 청년에 대한 일자리·임금·교육·직업훈련·인프라 등 심각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대학졸업 후 해당 지역에서 취업해 머무르는 비율은 2018년 기준 수도권이 87.8%로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충청(35.3%), 강원·제주(37.7%), 대구·경북(53.1%) 등 지방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jiany@fnnews.com 연지안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