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방

보훈처 '美하와이 활동' 독립유공자 직계후손 4명 확인 밝혀...

이종윤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02 11:36

수정 2022.05.02 11:36

유족 등록 절차 거쳐 보상금 등 보훈수혜 제공 예정
[파이낸셜뉴스]
문또라 지사(오른쪽)와 딸 정월라 지사(왼쪽).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문또라 지사(오른쪽)와 딸 정월라 지사(왼쪽).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2일 국가보훈처는 "하와이에서 활동한 국내 독립유공자 5명과 외국인 독립유공자 1명의 후손 4명을 확인해 지난달 28일 열린 후손확인위원회에서 최종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보훈처는 "일제강점기 미국 하와이에서 활동하며 조국독립과 임시정부 활동에 자금을 지원한 국내외 유공자 6명의 직계 후손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보훈처는 지난해 12월 국외 독립운동 사료수집 및 후손 찾기의 일환으로 하와이 거주 후손과 현지 관계자들을 면담하고 각종 증명서와 사진, 신문기사 등 자료를 입수해 독립유공자 후손을 찾았다. 이번에 찾은 후손은 엘사 칼, 파멜라 순이 유, 김영호, 조지 블레어 맥큔 등 4명이다.

보훈처 후손확인위는 가족 독립유공자인 문또라(2019년 건국포장)·정월라(2018년 대통령표창)·정원명(2014년 건국훈장 애국장) 지사의 후손이자 문 지사의 외증손인 엘사 칼을 후손으로 심의·의결했다.

하와이 이민 1세대인 문 지사는 1913년 하와이 최초의 여성단체인 대한인부인회를 시작으로 하와이 한인협회, 조선민족혁명단 등에서 간부로 활동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문 지사의 딸 정월라 지사 역시 하와이 한인 여성들과 '독립금 예약 수봉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장 시절의 정원명 지사(앞줄 가운데).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장 시절의 정원명 지사(앞줄 가운데).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정월라 지사의 남편 정원명 지사는 1909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총회장에 이어 1925년 임시정부후원회장을 역임하며 기관지 '단산시보'를 발행하는 등 다양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보훈처는 작년 11월 현지 사료수집위원에게서 제보 받은 정월라 지사 사망사건 기사를 통해 직계 존비속 이름, 사망일자 등 중요 정보를 확인했고, 이후 미 국가공문서 보관소(내셔널 아카이브)에 보관돼 있던 정원명 지사의 제1차 세계대전 징집등록카드를 입수, 추가 정보를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후손확인위는 독립유공자 천진화 지사(2016년 대통령표창)의 외손녀 파멜라 순이 유와 독립유공자 김예준 지사(2022년 건국포장)의 자녀 김영호도 후손으로 심의·의결했다.

천 지사는 1914년 대한인국민회 하와이지방회, 1944년 조선민족혁명단 하와이 총지부 등에서 활동하며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또 김 지사는 1931년 백범 김구 선생의 특무공작에 찬성해 하와이 한인들과 함께 독립의연금 1000달러를 모금, 윤봉길·이봉창 의사의 의거 자금을 지원했다.

보훈처는 하와이에서 천 지사 외손녀를 직접 만나 후손입증 자료, 미공개 사진 등을 확보하고 현지 한인교회 관계자를 통해 김 지사의 공적과 후손정보를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를 기초로 올해 '3·1절'을 맞아 김 지사에게 포상을 추서했다.

이와 함께 보훈처는 외국인으로서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은 조지 새넌 맥큔(한국명 윤산온)의 하와이 거주 손자 조지 블레어 맥큔을 후손으로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조지 새넌 맥큔 지사.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조지 새넌 맥큔 지사.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조지 새넌 맥큔 지사는 1905년 선교사로 우리나라에 입국, 1919년 '3·1운동' 때 학생들의 독립운동을 후원하고, 당시 상황을 기록해 미 시카고의 잡지사에 보내는 등 독립운동을 도왔다.

또 그는 1920년 미국의원단에' 독립승인청원서'를 전달하다가 일제에 의해 미국으로 추방당하기도 했다. 이후 그는 다시 우리나라로 돌아왔으나 1936년 '신사 참배 반대'를 이유로 숭실학교 교장직에서 파면됐다.

이런 가운데 보훈처는 조지 새넌 맥큔 지사를 '2020년 2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며 후손 찾기에 착수, 지사가 교장으로 있던 숭실대 소장 자료 조사 과정에서 후손 정보를 확인하고 후손과의 지속적인 연락을 통해 입증서류를 확보했다.

남궁선 보훈처 보훈예우국장은 "앞으로도 현지 관계자들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입증자료를 수집하는 등 국외 거주 독립유공자 후손 찾기에 더욱 박차를 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보훈처의 이번 후손 확인 작업을 도운 이덕희 한인이민연구소장은 "하와이와 미주 본토에 거주하는 후손들은 이미 3~4세대로 고령화됐기 때문에 더 늦기 전에 적극적으로 후손 찾기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훈처는 "이번에 독립유공자 후손으로 확인된 이들에게 올해 8월 광복절을 계기로 하와이 현지에서 훈장 등을 전수하고, 독립유공자 유족 등록 절차를 거쳐 보상금 등 보훈수혜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