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청와대

"국정 공백 최소화" 취임 하루 전 인선… 관료 출신 전진배치 [차관급 20명 발표]

서영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22.05.09 18:22

수정 2022.05.09 18:22

기재부 1차관에 방기선 前차관
2차관에 내부 인사 최상대 기용
대통령실 부속실장 강의구 내정
尹과 '20년 인연' 최측근 알려져
"국정 공백 최소화" 취임 하루 전 인선… 관료 출신 전진배치 [차관급 20명 발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취임 하루 전 새 정부 15개 부처 20개 차관급 인선을 발표했다. 장관 인사청문회가 완료되지 않은 점을 감안해 차관을 중심으로 국정운영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대통령비서실 추가 인선에는 비서실장 직속 부속실장에 강의구 전 검찰총장 비서관을 내정했다.

윤 당선인은 9일 여성가족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법무부를 제외한 15개 부처 차관급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차관급 인사에는 정통관료 출신들을 전진 배치해 전문성을 살린 것으로 보인다. 기획재정부 1차관인 방기선 전 기획재정부 차관보, 2차관인 최상대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외교부 1차관인 조현동 유엔산업개발기구 한국투자진흥사무소 대표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외교부 2차관으로 발탁된 이도훈 전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북핵외교를 실무적으로 총괄했던 인물이다. 이 전 본부장은 박근혜 정부에서 외교안보수석실 외교비서관으로 근무하기도 했다. 박근혜 정부-문재인 정부-윤석열 정부로 이어지는 정권교체에도 계속 중용되는 흔치 않은 경력을 쌓게 됐다.

국방부 차관으로 내정된 신범철 경제사회연구원 원장 겸 외교안보센터장은 오랫동안 국책연구기관·정부·국회에서 활동하며 외교분야 경험을 쌓은 안보전문가로 꼽힌다. 한미동맹 강화와 한미 군사현안에 안보정책의 중점을 둔 윤 당선인의 의중을 반영한 인사로 읽힌다.

김인철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공석이 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대신해 당분간 책임을 질 교육부 차관에는 장상윤 국무조정실 사회조정실장이 중용됐다. 장 실장은 국무조정실에서 사회 분야를 총괄해온 정통 행정관료다. 코로나19 이후에는 국무조정실에서 코로나19 관련 실무를 진두지휘했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도 코로나비상대응특위 정책지원단장을 맡았다.

이번 인사에서 20명의 차관 내정자 중 50대가 17명으로 85%를 차지했다. 나머지는 60대(외교부 조현동 1차관, 이도훈 2차관, 김기웅 통일부 차관)로 5060세대로 묶인다. 차관급 인선에서는 여성이 단 한명도 없다. 출신학교는 여전히 서울대 출신이 8명(방기선·김기웅·안덕근·조규홍·권기섭·이원재·송상근·조주현)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 출신은 6명(최상대·장상윤·이도훈·한창섭·김인중·유제철)으로 뒤를 이었다.

부처 차관급 인사 외에도 이날 윤 당선인은 대통령 내외를 지근거리에서 보좌할 부속실장에 강의구 전 검찰총장 비서관을 내정했다. 강 전 비서관은 윤 당선인이 대검 중수부 평검사 시절부터 20여년간 인연을 쌓아온 측근으로 알려졌다. 윤 당선인이 검찰총장 때도 비서관으로 일했다. 강 전 비서관의 합류로 대통령실에는 검찰 출신 윤 당선인 측근들이 대거 기용돼 일각에서는 비판이 나오기도 한다.
윤 당선인은 앞서 총무비서관에 윤재순 전 대검 운영지원과장, 인사기획관에 복두규 전 대검 사무국장, 법률비서관에 주진우 전 부장검사, 공직기강비서관에 이시원 전 부장검사를 내정했다. 대부분 윤 당선인이 검찰 시절부터 인연이 깊은 사이로 전해졌다.


윤 당선인 대변인실은 "윤 당선인은 정부 운영에 어떠한 공백도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이번 인선 내용을 발표했다"며 "취임 즉시 관련 내용에 서명하고 발령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