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이 "디커플링 반대…진영 대치 반대가 근본적 이익 부합"
北도발 관해서도 의견 교환…박진, 中 건설적 역할 당부
[워싱턴·서울=뉴시스]김난영 특파원, 한주홍 기자 = 박진 외교장관이 왕이 중국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과 상견례를 겸한 첫 화상 통화를 했다. 양국 관계 및 한반도, 북핵, 북한 코로나19 등 현안 협력 기조를 확인하는 동시에 중국 측에서는 미국을 견제하는 듯한 발언도 나왔다.
외교부는 16일 박 장관이 왕 부장과 첫 통화를 하고 한·중 관계 전반, 한반도 문제, 북핵 문제, 북한 코로나19 상황 등 양국 현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왕 부장은 "박 장관과 좋은 업무 협력 관계를 형성해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한다.
박 장관은 이에 "역내에서 공동의 가치와 이익에 기반한 외교를 전개해나가고자 한다"며 "한·중 관계가 금년 수교 30주년을 맞아 상호 존중과 협력 정신을 바탕으로 보다 성숙하고 건강하게 발전해나가기를 바란다"고 화답했다.
최근 북한 내 코로나19 확산도 논의됐다. 두 장관은 북한 상황에 우려를 표하며 북한 주민에 대한 코로나 대응 인도적 지원 필요성에 관해 의견을 교환하고, 상호 지속적인 문제 협의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북한의 잇따른 도발도 논의했다. 박 장관은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는 한반도 및 역내 정세를 악화시킬 뿐 아니라 양국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 만큼, 한·중이 협력해 한반도 상황의 안정적 관리를 도모해나가기를 기대한다"라며 북한의 추가 도발 자제를 위한 중국의 건설적 역할도 당부했다.
두 장관은 양국 간 소통 강화, 교류 증진의 필요성에도 공감대를 형성했다.
박 장관은 양 정상의 상호 방문을 포함한 고위급 및 각급 간 교류·소통 강화, 경제·보건·기후변화·미세먼지 등 실질협력 심화, 한·중 문화교류의 해를 계기로 문화·인적 교류 확대, 한반도 정세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협력 강화를 요청했다.
왕 부장도 "수교 30주년을 맞아 양국 관계가 한층 더 발전해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양측 고위급 간 소통·조율, 호혜협력, 문화교류 및 국제·지역 협력을 강화해나가자고 밝혔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왕 부장은 또 "새로운 출발점에서 우리는 올바른 방향을 이해하고 중·한 관계를 더 크게 개발하는 새로운 30년을 만들어야 한다"라고도 했다. 양측이 각급 대화 메커니즘을 잘 활용하고 원만하고 질 좋은 정치적·외교적 소통을 유지해야 한다고도 했다.
두 장관은 지역·글로벌 정세 관련 상호 관심 사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하고, 국제사회에서 크게 변화된 양국의 위상을 감안해 지역·글로벌 차원에서도 긴밀히 협력해 나가자고 뜻을 모았다.
이와 관련해 박 장관은 "한국이 글로벌 중추국가로 발전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며 "중국도 책임 있는 국가로 적극 역할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두 장관은 앞으로 상호 방문을 포함해 자주 전략적 소통을 갖고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나가기로 했다.
한편 신화통신에 따르면 왕 부장은 이날 미국 견제로 해석되는 발언도 내놨다. 왕 부장은 "오늘날 이 지역을 개방적, 포용적으로 유지하고, 신냉전의 위험을 경계하며, 진영 대치에 반대하는 게 중국과 한국의 근본적 이익에 부합한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한국과 중국 양측이 "망 단절"과 "디커플링"의 부정적 경향에 반대하고 세계 산업망 및 공급망의 안정성과 원만함을 유지해야 한다고도 했다. 아울러 양국 국민 간 긴밀한 교류도 강조했다.
왕 부장은 아울러 세계 평화·번영 증진에 관한 한국의 건설적인 역할 수행을 거론하고, 한국과 함께 양국 및 아시아, 신흥 시장의 공동 이익을 보호할 준비가 됐다고 했다. 또 양국이 언제나 상호 발전 경로와 핵심 이익, 문화적 전통을 존중해 왔다고 말했다.
이번 통화는 오는 20~24일 바이든 대통령 방한·방일을 앞두고 이뤄졌다. 바이든 대통령은 한국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진행한 후 일본으로 이동, 지난해 10월부터 자국이 추진해온 이른바 인도·태평양 경제 프레임워크(IPEF) 출범을 선언할 것으로 전망된다.
IPEF는 미국의 구상 공개 직후부터 사실상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 견제용'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이 때문에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등에서 합류를 망설이는 기류가 흐르기도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mzero@newsis.com, ho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