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우리나라 핵심 경제활동 연령인 30~40대에서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인구 10명 중 9명은 여성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25일 발표한 '최근 여성고용 동향 및 개선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비경제활동인구 중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인구의 70.5%는 여성으로 나타났다. 핵심 경제활동 연령인 30~40대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인구는 90% 이상이 여성이었다.
경총은 최근 여성고용의 특징으로 △여성 노동력 유휴화 현상 지속 △경력단절곡선의 학력별 분화 및 고착화 △성별로 차별화되는 실업 상황을 꼽았다.
경총은 30~40대 여성 인구 중 4분의 1 가량이 1년 이상 장기 비경제활동 상태에 있어 국가 인적자원 활용 측면에서 상당히 큰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졸 이상(대학원졸 포함) 여성의 경우 20대 고용률은 높은 편이나 30대부터 고용률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에 20대 고용률 수준을 다시 회복하지 못하고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대졸 여성은 20대 후반과 30대 후반의 고용률 격차가 5년 평균 기준 20.8%로 조사됐다. 다른 학력보다 큰 등락을 보이며 경력단절 현상을 가장 크게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졸 이하 여성은 20대 고용률이 다른 학력에 비해 낮았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최근 5년간 여성 실업자는 연평균 약 2.1% 증가했다. 반면 남성 실업자는 연평균 약 0.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0년 여성 실업자 수는 48만4000명으로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시기인 1998년(48만6000명)과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했지만, 남성 실업자 수는 코로나19 시기에도 감소했다.
최윤희 경총 고용정책팀 책임위원은 “현재까지 '기업 단위'에서 여성 인력의 노동시장 이탈방지에 초점을 둔 여성고용 유지정책이 여성 인력 저활용 문제를 크게 개선시키지 못한 만큼 앞으로는 노동시장 유연성 강화를 비롯해 노동시장 단위에 초점을 맞춘 정책으로 여성 인력이 손쉽게 노동시장에 재진입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mkchang@fnnews.com 장민권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