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수처리 설치비 등 부담 커"
경영 애로사항 1위는 '내수부진'
부산지역 뿌리산업인 표면처리(도금) 업체들은 정부나 부산시로부터 폐수처리 설치비 및 부담금 지원을 가장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 애로사항 1위는 '내수부진'
부산연구원은 지난 2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부산지역 표면처리산업 육성방안' 보고서를 발표했다.
표면처리는 제품 표면을 처리해 소비자가 원하는 특성을 얻고자 하는 기술로, 제품 생산 공정에서 마지막에 적용된다. 부산은 조선, 자동차, 기계 등 많은 부품으로 구성되는 완제품의 제조 거점지역으로 표면처리산업 관여도가 매우 높다.
그러나 부산지역 표면처리산업은 영세업체가 많아 기술개발, 자동화 도입에 취약하다. 시설 노후화 속에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따른 시설투자가 필요하지만 개선 여력이 없다.
표면처리업계가 스마트화, 기술개발 등 고도화를 추진해 나가고 있으나 부산지역 업체들은 이러한 패러다임 혁신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부산연구원이 지역 표면처리업체 관계자 16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정부나 부산시로부터 기대하는 지원정책은 폐수처리 설치비 및 부담금 지원(34.9%), 대기환경 개선 설비 설치비(28.3%), 사업화 지원(13.1%), 기술 지원(9.7%)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 애로사항은 내수 부진(22.4%)이 가장 높고 이어 자금조달 곤란(22.2%), 인건비 부담(22.0%),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등 과도한 규제(14.5%) 순으로 꼽혔다.
부산은 수도권 다음으로 많은 표면처리업체가 있으나 투자는 저조하다. 스마트화, 기술 개발 등 고도화 추진에 신속하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2020년 기준 기술 개발을 위해 자금투자를 한 적이 있는지에 대해 14.0%만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표면처리산업은 2019년 기준 사업체 수가 전국의 8.6%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동남권은 22.9%로 수도권(49.9%)에 이어 2위다. 완성품 납품처는 자동차산업이 53.7%로 가장 높고, 선박(21.3%), 전자 및 전기(6.1%),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4.3%) 순이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표면처리산업은 직접 가공하는 1차 벤더부터 표면처리 서비스만 제공하는 3차 벤더까지 역할과 업체 규모가 다르다.
도금업, 도장 및 피막처리업, 인쇄회로기판용 적층판 제조업 등 표면처리 종류만 200종이 넘기 때문에 획일적인 정책 지원 방안을 수립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안정적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는 고부가가치업체와 하도급에 의존하는 영세업체를 나눠 투트랙 육성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부산연구원 장정재 연구위원은 "표면처리는 조선·조선기자재, 신발부속품, 액세서리 포장용기 등 부산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이 되기 때문에 동반성장을 위한 육성 방안 수립이 필요하다"면서 "고부가가치 업체는 스마트 공장 전환, 표면처리 사관학교 개설, 고부가가치 기술 개발 을 통해 글로벌 선도기업으로 육성하고 영세업체는 근무환경 개선, 아파트형 공장 조성, 병역 특례, 기초 기술교육 등 지원으로 애로사항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bsk730@fnnews.com 권병석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