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평양 순안 등 4곳에서 35분간 '단거리탄도미사일 8발 발사'
최소 4종류, 서로 다른 목표물에 대한 '동시다발' 공격력 시현
北 도발 다양화 가속 '3발·다종발사'→ '8발·다종+무더기 발사'
한미해군 2~4일 연합훈련...하루 만에 北 '강력 반발' 성격인듯
북한의 한미 당국 강압에 흔들림 없는 억제력 강화·기조 중요
6월말 나토정상회의, EU 특사단 파견..국제사회 공조 강화해야
최소 4종류, 서로 다른 목표물에 대한 '동시다발' 공격력 시현
北 도발 다양화 가속 '3발·다종발사'→ '8발·다종+무더기 발사'
한미해군 2~4일 연합훈련...하루 만에 北 '강력 반발' 성격인듯
북한의 한미 당국 강압에 흔들림 없는 억제력 강화·기조 중요
6월말 나토정상회의, EU 특사단 파견..국제사회 공조 강화해야
[파이낸셜뉴스]
5일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이 이날 오전 9시 8분~9시 43분경까지 약 35분간 북한이 평양 순안, 평안남도 개천, 평안북도 동창리, 함경남도 함흥 일대 등 4곳에서 순차적으로 발사한 단거리 탄도미사일(SRBM) 8발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합참은 이번 북한이 쏜 단거리 탄도미사일의 비행거리는 약 110km에서 670km, 고도는 약 25km에서 90km, 속도는 약 마하 3에서 6으로 탐지했으며, 세부 제원은 한미 정보당국이 정밀 분석 중이라고 전했다.
북한이 이처럼 8발의 탄도미사일을 잇달아 무더기로 쏜 건 역대 최대치로, 서로 다른 장소에서 4종류의 미사일을 차량형 이동식발사대(TEL)를 이용해 2발씩 쏜 것으로 보인다. 모두 동해상으로 발사했지만, 목표 지점도 서로 달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북한판 이스탄데르 KN-23, 북한판 에이태킴스 KN-24, 북한판 초대형 방사포 KN-25를 포함한 도발이란 관측이다.
북한은 앞서 지난달 25일엔 평양 순안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1발과 SRBM 2발을 포함해 모두 3발을 연이어 쐈다.
합참은 "최근 북한의 연이은 탄도미사일 발사는,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심각한 도발로서 이를 강력히 규탄함과 동시에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히 촉구한다"고 경고했다.
또 지난 3일엔 서울에서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한 외교 당국의 한미·한일·한미일 북핵수석대표 협의가 잇달아 진행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반길주 인하대학교 국제전략연구소 안보연구센터장은 북한의 이번 도발은 "단순 무기개발의 성격이라기보다는 '한미 당국에 던지는 강압의 메시지' 성격이 강하다"며 "SRBM은 이미 전력화된 단계로 무기체계를 진화여지가 크지 않다"고 짚었다.
반 센터장은 "이번 북한의 도발은 연쇄 구도 속에서 조망할 필요가 있다"며 "코로나 위기라는 북한 내부적 상황과 유엔 결의안 위반에 규탄 등 국제적 요소와 무관하게 '정권안보를 위해서 7차 핵실험을 강행하겠다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북한의 레드라인을 넘는 도발에→△한미정상은 공동성명을 통해 억제력을 높이는 조치를 취했고→△이에 북한은 억제력 약화를 노리고 ICBM 발사와 7차 핵실험 준비로 맞섰다. →△한국은 림팩훈련에 참가하는 해군전력과 미국의 핵항공모함까지 동원한 연합해상훈련을 시행, 북한에 오판하지 말라는 신호를 보냈지만→△북한은 18번째 8발 다종 탄도미사일 발사, 도발로 답을 하며 외부의 요구를 무시하고 '자신의 길을 가겠다'고 답하면서 '7차 핵실험 강행을 위한 군불 지피기' 측면이 있다는 해석이다.
이어 반 센터장은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높이는 노력과 우선 억제력 강화라는 기조가 흔들리지 않는 것이 중요하고 더욱 절실해졌다"고 지적하고 "윤 대통령의 6월 말 나토정상회의에 참가와 EU 특사단이 파견의 외교 일정표는 국제사회 공조 강화를 위해 귀중한 기회로 이 기회를 제대로 살리는 짜임새 있는 국방외교력을 선보여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북한은 최근 '핵보유국 기정사실화'를 넘어 유사시 '핵사용 기정사실화'를 천명하고 핵고도화 다종화를 진행해 '핵완성'을 향해 치닫고 있다.
특히, 최근 북한은 폭파 쇼를 진행했던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3번 갱도를 복구, 5년 만에 7차 핵실험 준비까지 마쳐 언제든 핵실험 도발이 가능하며, 전술핵탄두 실험용 보다는 실전 사용가능한 소형화된 전술핵 기폭장치 실험이 필요해 2회 이상 강행할 것이라는 한미전문가들의 분석이 다탕성이 높다고 평가되는 상황이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