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통해 교육 행정 명예 회복에 주력…"교육감이 직접 목소리 들을 것"
과대 학교·과밀 학급 해소 위해 학교 신설…인수위원회서 기초 작업 착수
학생 학력 저하 우려 목소리 커 "제학력평가 통해 맞춤형 교육으로 해결"
김 당선인은 20일 뉴시스와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소통을 통해 실추된 교육행정의 명예 회복에 주력하겠다.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교육감이 직접 듣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도록 하겠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임 교육감의 임기 중 불거진 '소통 부족' 지적을 언급하며 '소통 교육감'을 줄곧 강조한 김 당선인은 "전임 교육감 정책을 무조건 배척하진 않겠다. 좋은 정책은 유지해 나가겠다"고도 했다.
아이들의 학력 신장을 위한 전제조건으로는 제학력평가 실시를 내놨다. 다만, 과거처럼 아이들을 성적순으로 줄 세우는 이른바 '일제고사'식 평가는 지양하겠다고 했다. 그는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한 뒤 맞춤형 교육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과대학교·과밀학급 해소를 위해 공약했던 신제주권 여중·고 이전 또는 신설, 제주첨단과학단지 내 초등학교 신설과 관련해선 "인수위원회에서 기초작업에 착수했다. 취임 후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당선인과 일문일답.
-8년간 진보 교육감 체제를 끝내고 보수 교육감으로 제주교육청에 입성한다. 교육정책 기조 변화에 대한 구상은.
"교육에 진보와 보수가 따로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맥락에서 저를 보수 교육감으로 분류하는 것에 대해서도 동의하지 않는다. 전임 교육감의 정책이라고 무조건 배척하진 않을 것이다. 좋은 정책은 유지하고 개선을 바라는 정책에 대해선 바꿔나가도록 하겠다. 교육정책 기조는 크게 '소통'과 '학력 신장'에 방점을 두겠다.
-취임 후 역점을 두고 추진할 정책은.
"소통을 통해 실추된 교육행정의 명예 회복에 주력할 방침이다. '열린 교육감실' 운영 방안을 마련해 교육 현장의 목소리를 교육감이 직접 듣고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겠다. 도민과 소통을 위해서도 '미래교육 도민소통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해 나가겠다. 코로나19로 인해 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많다. 진단고사를 통해 학력 현 실태를 파악해 맞춤형 교육으로 학력을 신장시키겠다."
-핵심과제 10개 분야에 56개 세부 공약을 발표했다. 가장 먼저 추진할 공약은.
-각급 학교 신설 또는 이전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현재 교육감직 인수위원회에서 학교 이전 또는 신설에 대한 기초작업에 착수했고, 전체적인 윤곽은 가지고 있다. 취임하면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겠다. 다만 교육 이해 관계자와 지역주민들과 대화 없이 계획을 발표할 경우 또 다른 갈등 요인이 될 우려가 있어 계획 발표 이전에 충분한 소통을 통해 결론을 도출해 내겠다."
-전임 교육감의 '자율형 학교' 모델인 IB(국제 바칼로레아) 교육을 이어가되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는데 어떤 부분이 변화하는지.
"교육 현장에서 혼란을 주고 있는 IB 교육과정에 대한 보완책 마련은 필요하다. 현재 IB를 진행하는 곳은 전국 일반 국공립 학교 중에서 제주와 대구 2곳뿐이다. IB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니다. 다만 도입 과정에서 초·중·고 차례로 진행이 돼야 하는데 바로 고등학교 과정에 적용했을 경우 문제가 생긴다. 당장 대학 입시에서 문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하는 목소리가 많다. 인수위에서 최근 IB가 도입된 표선고등학교를 방문해 의견을 청취했다.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분석해 고쳐나가겠다."
-연합고사와 제학력평가 부활에 대한 입장과 계획은.
"현재로서는 연합고사 부활에 대한 계획은 없지만 여건 변화 또는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면 논의의 장을 열어 놓을 생각이다. 제학력평가는 과거처럼 학교별로 순위를 매기고 학생별로 비교를 하는 평가가 아니라 학생들의 학력 현 수준을 파악해 학력이 떨어진 부분에 대해선 맞춤형 교육을 통해 학력을 신장해 나갈 것이다. 제학력평가는 원하는 아이들을 대상으로만 시행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서귀포시 우회도로 건설 추진 계획은.
"서귀포시 우회도로 개설 사업은 서귀포시 시민들의 숙원사업이지만 서귀포학생문화원 등 교육시설 이용객들의 안전 문제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해결 방안으로 서귀포학생문화원 시설을 이전할 경우 교육부 소유 토지를 이관 받는 방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재원도 건축비만을 제주교육청에서 부담하면 될 것이다. 지역주민과 충분한 대화를 통해 합의점을 도출해 추진해 나가겠다."
☞공감언론 뉴시스 0jeoni@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