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IoT 기반 도시안전 플랫폼 구축

【파이낸셜뉴스 대구=김장욱 기자】 대구 달서구는 비수도권 최초로 '블록체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능형 도시안전 플랫폼'을 구축, 디지털·데이터에 기반한 건축물 안전관리를 실시한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달서구 내 안전등급이 낮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돼 있거나, 준공된 지 30년을 경과한 노후건축물 등은 육안을 통해 안전점검이 이뤄지고 있다.
앞으로 이런 노후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블록체인과 IoT 융합기술을 비수도권 최초 도입해 위험요소를 실시간 자동감지하고 예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건물에 부착된 IoT센서(크랙, 기울기)가 구조물의 이상변화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위험 감지 시 구·건물소유자에게 경보알림이 문자로 전송돼 사전에 예방조치를 취하게 된다고 구청 관계자는 설명했다.
수도권에는 건축물 안전관리에 IoT가 조금씩 도입되고 있는 단계다.
달서구·건물소유자는 PC·스마트폰으로 구조물 상태 정보, 실시간 데이터를 언제든 상시 모니터링·조회할 수 있게 된다.
이번 플랫폼이 가동되면 위험상황을 사전에 인지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투입되는 인력·시간 대비 즉각적·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객관적 데이터에 기반한 투명한 이력관리로 각종 안전사고의 원인을 정확하게 규명하고, 이에 따른 분쟁, 안전관리 대책 수립에 근거자료로도 활용할 전망이다.
플랫폼의 관리대상은 △재난위험시설로 지정·관리되는 위험건축물 △30년이 경과한 노후 건축물(미흡·불량 등급) △옹벽·인공 비탈면 같은 주택사면 등이다.
이태훈 달서구청장은 "'블록체인 IoT 기반 도시안전 플랫폼'이 민간건축물 안전관리에 예측 가능성을 높여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운영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달서구는 올 9월까지 건축물 소유자의 사전 동의를 거쳐 200개동을 선정하고, 11월까지 센서 부착 및 플랫폼을 개발, 2023년 1월부터 실증에 들어간다.
한편 달서구는 대구 최초로 '중대재해예방팀', '건축안전팀(센터)'을 신설, 구민의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에 노력하고 있다.
또 재해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해 중대시민재해 관리 대상시설 20개소(월광교, 장기1교, 어린이집, 청소년수련관, 종합복지관 등 공중이용시설)에도 센스를 부착할 예정이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