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케어 산업 트렌드 분석 보고서 발간
디지털전환·고령층 부상·만성질환 3가지 트렌드 제시
디지털전환·고령층 부상·만성질환 3가지 트렌드 제시
[파이낸셜뉴스] 코로나19 이후 국내외 헬스케어 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기업의 전략 재정비가 필요하다는 분석 보고서가 나와 이목을 끈다.
삼정KPMG는 12일 발간한 보고서 ‘코로나19 그 이후, 헬스케어 산업에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을 통해 헬스케어 산업 트렌드로 △디지털 전환 △고령층의 부상 △만성질환을 제시했다.
코로나19 팬데믹과 디지털 기술의 폭발적인 발전이 융합되면서 의료 서비스 유형이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다양한 디지털 헬스케어 제품들이 출시되며 질병 예방 및 관리가 가능한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제조 회사 핏빗(Fitbit), 글로벌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얼라이브코어(AliveCor), 건강관리 플랫폼 기업 눔(noom) 등이 있다.
글로벌 KPMG가 미국, 영국, 호주, 중국 등 의료업계 경영진(CEO)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경영진의 80%는 변화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79%는 향후 3년 내 의료 서비스 모델이 모두 바뀔 것으로 봤으며, 65%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디지털 의료 서비스 중심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고 답했다. 투자 우선순위로는 디지털 치료 전환(66%)을 꼽았다. 디지털 치료 전환은 지역사회로의 의료 서비스 이관(63%), 예방 의료(58%) 보다 응답률이 높았다.
보고서는 디지털 헬스케어의 주고객으로 고령층이 부상하며 의료 서비스 대상의 변화가 일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코로나19를 계기로 비대면 진료, 홈케어 서비스 등 고령층의 ‘디지털화’가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치료와 관리가 모두 필요한 만성질환에 대한 의료 서비스 수요도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국내 고령자 10명 중 8명이 만성질환을 앓고 있고, 전체 고령자 55%가 2개 이상의 만성 질환을 보유하고 있다. 보고서는 한국의 빠른 고령화 속도와 더불어 만성질환에 대한 의료 서비스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의료산업의 디지털화로 질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파악해 처방하는 만성질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보고서는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의 대응방안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기반으로 한 의료기관과의 협업을 강조했다.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은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대형병원과의 협업을 바탕으로 한 연구개발(R&D)을 추진해 제품을 고도화하고, 1차 의료기관 대상 만성질환 관리에 제품을 활용하는 협력을 고려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현재 병원은 인력, 공간, 장비의 한계에 성장이 제한되어 있는 구조이며, 디지털 헬스케어 업체와 병원이 서로 윈윈(Win-win)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협업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인수합병(M&A)을 통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거나 판매채널을 다변화는 것을 주문했다.
보고서는 “M&A를 통해 다른 질환으로의 확대뿐만 아니라 원격 의료·처방·건강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로의 연계를 통한 수익 확대에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삼정KPMG 헬스케어 산업 리더인 박경수 상무는 “국내 시니어타운이 일본과 유사한 패턴으로 향후 5년 내에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실제로 대기업과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시니어타운과 병원을 연계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인공지능이나 빅데이터 등 차세대 기술을 활용해 시니어타운을 새로운 헬스케어 서비스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