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5년간 270억 투입
나노팹 공정을 데이터로 축적
시행착오 줄여 시간·비용 절감
나노팹 공정을 데이터로 축적
시행착오 줄여 시간·비용 절감
[파이낸셜뉴스]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 필요한 연구개발(R&D)과 인재육성을 위해 첨단 반도체 공정 노하우를 데이터로 축적해 지원한다. 이를 통해 연구기관과 기업, 대학에서는 반도체 개발 과정에서 시행착오를 줄임으로써 시간과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부터 2026년까지 총 270억원을 투입해 '인공지능(AI)·데이터 기반 나노팹 공정 스마트 서비스'를 구축한다고 20일 밝혔다. 이 사업은 공공 나노팹이 데이터 기반의 공정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나노팹 공정 데이터의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활용 기반을 갖추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그간 나노종합기술원 등 공공 나노팹에는 매년 수만 건의 나노·반도체 분야 공정서비스를 지원하는 시설이 갖춰져 있다. 하지만 서비스 데이터를 축적해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없어 공정 경험을 축적하고 활용하는 체계적 서비스 운영에 한계가 있었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별 장비 단위로 운영 인력의 경험과 실력에 좌우돼 관리되던 공정과 장비 데이터를 빅데이터화할 예정이다. 또 장비 간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계하는 등 인공지능(AI) 기반의 나노팹 스마트 운영서비스를 구축키로 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날 나노종합기술원에서 이와 관련한 '공공 나노팹 운영 혁신 자문위원회'를 개최했다. 과기정통부 이창윤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이 자리에서 "반도체 공정 등에 데이터와 AI를 적용해 연구성과를 창출하는 혁신적이고 의미있는 사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창윤 정책관은 이어서 "향후 국가나노인프라기관에 적용을 확대함으로써 산학연 반도체 공정개발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사업은 크게 나노팹의 스마트화를 통한 기능과 서비스 고도화, 나노팹 공정데이터의 빅데이터화와 AI를 활용한 디지털화로 이뤄져 있다.
먼저 엔지니어가 보유한 전문성과 상호 보완이 가능한 데이터 기반의 연구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이렇게 되면 공정서비스 시간을 최소화하고 인력공백으로 인한 공정서비스 단절을 극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실패 공정 답습으로 인한 R&D 지원의 비효율성을 없애는 등 나노팹 지원체계의 효율와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와 AI를 활용한 공정검증, 공정·장비 데이터의 공공화로 체계적이고 신속·정확한 공정구현이 가능해진다. R&D 소요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등 최첨단 장비 기반의 국가 나노 산업 생태계를 성장하고 촉진하기 위한 나노팹의 공정데이터 활용체계를 극대화할 수 있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