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연구진, 시냅스 반도체 부품 개발
실제 뇌 시냅스보다 동작범위 50배 증가
기존 부품대비 정보 보존성 6300% 향상
실제 뇌 시냅스보다 동작범위 50배 증가
기존 부품대비 정보 보존성 6300% 향상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인공뇌융합연구단 정연주 박사팀이 인간 뇌를 닮은 뉴로모픽 컴퓨터의 핵심인 인공 시냅스 반도체 부품을 업그레이드 했다.
새롭게 업그레이드된 인공 시냅스 반도체 부품은 생물학적 뇌의 시냅스보다 동작 범위가 약 50배 향상됐다. 또한 기존 인공 시냅스 부품 대비 정보 보존성이 최대 6300% 이상 증가했다.
정연주 박사는 24일 "가장 큰 기술적 장벽이었던 시냅스 동작 범위와 정보 보존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했다"며 "뇌를 모방한 인공지능 컴퓨팅 성능이 한 차원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은 기존 뉴로모픽 반도체 부품의 성능을 떨어뜨리는 작은 시냅스 변형을 해결하기 위해 활성 전극 이온의 산화환원 특성을 미세하게 조절했다.

이와함께 이 인공 시냅스 부품으로 인공신경망 학습패턴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공지능 이미지 인식 학습을 시도했다. 그 결과, 에러율이 기존 인공 시냅스 부품 대비 60% 이상 감소했다. 또한 손글씨 이미지 패턴(MNIST) 인식 정확도도 69% 이상 향상됐다. 연구진은 "이는 인공 시냅스 부품을 통해 고성능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최신 호에 게재됐다.
monarch@fnnews.com 김만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